금환(전통 공놀이)·월전(가면극)·대면(탈춤)<BR>속독(남색가면)·산예 (사자춤) 다섯마당으로 구성<BR>경주문화재단, 매 첫째주 토요일 교촌마을 광장
`향악잡영(鄕樂雜詠)`은 신라 말의 학자 최치원(857~?)이 지은 5수의 한시다.
최치원이 서역에서 중국을 통해 들어온 가면극인 `오기(五伎)`의 모습을 7언 4구체로 읊은 것이다. 그의 문집인 계원필경과 삼국사기 악지에 실려 전한다. `오기`는 금환·월전·대면·속독·산예의 다섯가지 탈춤으로서 이에 대해 각각 1수씩 지은 것으로 문헌상에 나타난 한국 최고(最古)의 가면극으로 전해진다.
경주문화재단이 최치원 선생의 `오기`를 가면무희마당극 `신라오기`로 제작, 선보이고 있다.
최치원이 서역에서 중국을 통해 들어온 가무 공연을 보면서 시로 묘사한 것을 현대에 접목시켜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주관한 지역특화 문화콘텐츠 개발 사업에 `최치원과 신라오기(新羅五技)`가 선정돼 이뤄졌는데 최치원의 시에 나오는 전통 공놀이(금환), 가면극(월전), 신라탈춤(대면), 남색가면 무용(속독), 신라사자춤(산예) 등 다섯 가지 놀이를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했다.
마당놀이 형태의 `신라오기`공연은 이를 중심으로 다섯 마당으로 구성됐다. 20년간의 당나라 유학 생활을 마치고 고국으로 돌아온 최치원이 교촌마을에서 서라벌 광대패들의 공연을 보고 화려한 춤과 뛰어난 기예에 탄복해 다섯 수의 시를 지어 화답한다는 스토리다.
김완준 경주문화재단 사무처장은 “`신라오기`는 신라의 역사문화콘텐츠를 현대에 접목시켜 탄생한 공연물이다. 앞으로 경주를 대표하는 야외 브랜드 공연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최치원은 신분의 한계를 넘기 위해 12살에 당나라로 유학, 18세 때 당에서 장원급제했으며 관직 생활을 하던 중 `토황소격문`을 통해 황소의 난을 평정, 이름을 떨친 뒤 신라로 금의환향했다. 경주 상서장에서 진성여왕에게 `시무십조`를 올리며 신라 골품제를 개혁하고자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신라 조정을 떠났다. 이후 전국 각지를 돌며 `신라오기`가 소개된 `향악잡영` 5수 등 수많은 작품을 남겼다.
`신라오기`는 오는 9월까지 매월 첫째 주 토요일 오후 5시에 경주교촌마을 광장에서 무료 공연 된다. 문의 (054)748-7721.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