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기획ㆍ특집

"공공디자인" 도시경쟁력 이다

경북도가 그동안 성장위주의 급속한 개발과 경제성장 과정에서 다소 무질서하게 조성된 도시·건축물·경관 등을 역사와 테마가 있는 공공디자인으로 개선해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브랜드 가치향상과 경제가 살아있는 공간창출에 나섰다.도는 2012년을 `테마가 있는 공공디자인 사업'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지역주민, 건축가 또는 예술인, 공무원 등이 상호 협력하는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을 전개한다.도는 12개 시군 18개소에 121억원을 투자해 공공디자인 시범사업, 옥외광고물 시범거리 조성사업, 희망마을 만들기 사업 등 3개 단위사업으로 구분해 추진한다. □경북도의 추진 대책경북도는 공공디자인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행정안전부, 국토해양부 등 중앙부처의 각종 공모사업을 적극 유치함은 물론, 창의적이고, 파급 효과가 큰 사업은 도 자체사업으로 발굴·선정해 사업을 추진한다.사업대상 지구는 12개 시·군 18개 지역에 121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하며, 이중 7개 지역은 중앙공모사업을 유치해 16억원의 국비를 확보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8개 사업지구가 증가하고 사업비가 146% 정도 증가하여 명실 공히 디자인사업 원년임을 실감케 한다.특히 도는 올해 7개 군지역을 공공디자인 시범사업지구로 선정해 45억원을 투입, 도시중심이던 공공디자인 사업을 농어촌지역까지 확대한다.따라서 농어촌지역도 수준 높은 디자인 시범사업을 통해 주민들에게 지역에 대한 자긍심과 동참 분위기를 조성해 민간시설에까지 파급 효과를 확대한다.또 낙동강 살리기 사업의 실질적 혜택이 지역민들에게 돌아가도록 전국 최초로 신설보 주변 마을 종합리모델링 사업도 추진한다. □공공디자인 시범사업과 주요사업관광지 주변이나 노후화되고 침체한 도심지역 건축물이나 시설물, 거리 등을 지역의 정체성과 고유의 테마, 콘텐츠를 개발·새 디자인해 아름답고 품격 있는 도시로 가꾸는 사업으로서 6개 지역에 국비 9억원, 도비 7억6천만원, 시·군비 17억8천만원 등 34억4천만원을 투자한다.△포항시는 `고래의 향기가 풍기는 푸른 바닷길조성'이란 테마로 호미곶 해맞이 광장 주변 관광명소 사업과 함께 북부해수욕장의 야간경관 거점을 위해 해안조명과 타워 폴 설치로 포스코의 야경과 연계한 빛의 네트워크를 형성해 국제불빛 축제 등이 열리는 도심 속 문화와 축제의 장으로 조성한다.△영천시는 영천향교, 창대 서원 주변을 역사·문화와 고향의 정취가 묻어나는 추억의 길로 만들고, 삭막하고 도시미관을 저해하고 있는 영천중학교, 영동 중·고등학교 앞 도로의 옹벽을 주변경관과 어우러지는 예술작품으로 재창조해 학생들의 면학분위기 조성과 영천의 상징적인 명소로 만든다..△문경시는 문경새재도립공원 상가지구 내 무질서하게 설치돼 관광이미지를 저해하고 있는 60여 개의 상가간판을 정비해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로 조성하고, 문경새재도립공원 이미지에 맞는 조형물을 설치해 지역을 찾는 관광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지역경제에도 도움을 준다.△울진군의 `보부상 옛터의 재조명' 사업은 울진장에서 미역 등 해산물을 머리에 이거나 등에 진 채 십이령을 넘어 봉화 소천· 춘양장에 내다 팔았던 옛 보부상들의 발자취와 삶의 애환을 찾아 경북형 차마 고도의 이동 동선을 재현하면서 전통시장 활성화와 함께 관광자원으로 활용한다.또 특수시책사업으로 낙동강 신설 7개 보 중 가시권내에서 제일 큰 마을이 있는 낙단보 주변의 상주시 낙동면 낙동마을과 의성군 단밀면 낙정마을을 대상으로 마을 상징물조성, 공가를 문화예술전시공간 조성, 옥외 간판정비와 함께 주택 개·보수 사업 등 대대적인 환경정비를 한다. 이는 지역주민들은 물론 낙동강을 찾는 많은 관광객으로부터 환영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옥외광고물 시범거리 조성과 주요사업시가지 내 무질서하고 복잡하게 설치된 상가간판 등 옥외광고물을 정비해 아름다운 도시경관을 창출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으로서 7개 지역에 국비 1억3천100만원, 도비 25억4천만원, 시 군비 26억3천100만원 등 53억200만원을 투자한다.△경주시는 상가밀집지역인 황성로와 국·내외 관광객이 많이 찾는 대릉원 주변지역의 간판과 골목길정비, 경관 아케이드 설치 등으로 도시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지역상권을 활성화 시킨다.△김천시는 전통재래시장인 황금시장을 전통의 맛과 거리의 멋이 화합하는 이미지를 형상화한 디자인 사업으로 품격있는 가로환경을 조성하고 낙후된 재래시장을 활성화한다.△구미시는 구미의 대표적인 첨단산업의 이미지를 주요테마로 도심 속 조형(Building Art), 역동적인 도시 구미 (Display Art), 시민관점(Human Art) 등 3가지 요소를 가진 디자인으로 설치해 젊음의 열정과 자유를 느끼는 활력 길로 조성하는 등 테마와 이야깃거리가 있는 다양한 도심거리를 만든다.△성주군은 읍내 중심지인 성주로의 간판을 조형성·시인성·역동성을 가미하되, 업종별 특징과 업소별 개성을 살리고 거리 이미지에 맞는 디자인으로 개선해 성주에서만 볼 수 있는 특색있고 이야기가 있는 거리를 조성한다.△칠곡군은 가산산성 관광지 주변지역의 간판을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재디자인해 역사성과 테마, 볼거리가 있는 관광지로 조성한다.△봉화군은 읍 소재지에 나무처럼(木), 물처럼(水), 꽃처럼(花)이라는 컨셉으로 디자인한 시범거리를 조성해 언제나 찾고 싶고 언제나 가고 싶은 명소 봉화로 만든다.△울진군은 원전 인근지역인 죽변항에 `등대길 따라 죽변사람들이 들려주는 푸른 바다 이야기'를 모티브로 건물 및 간판정비, 죽변항 보행로 및 조형물 설치 등의 디자인 사업으로 죽변항을 아름다운 관광어항으로 가꾼다. □희망만들기 사업마을의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생산 및 판매를 위한 공동작업장, 특산물판매장 및 만들기 체험장 등을 조성해 수익을 창출하고, 사회적 소통과 문화적 여유, 경제적 풍요가 어우러지는 복합희망공간으로 재창조하는 사업으로서 3개 지구에 총 27억 5천만원을 투자한다.△김천시의 모산 달코미 희망마을은 지역특산물인 포도의 제조 및 판매시설, 마을회관 리모델링, 지산제 주변 생태환경 정비 등을 통해 지역 수익사업은 물론 인접해 조성되고 있는 김천혁신도시 주민을 위한 커뮤니티·체험공간을 조성한다.△영천시의 북안 된장 희망마을은 주거여건이 불량한 지역을 정비하고 농한기에 잉여인력을 활용해 콩을 이용한 된장 등 장류를 생산·판매하는 마을작업장, 판매 및 전시장, 쉼터 등을 조성한다.△칠곡군의 전통의 얼이 살아 있는 매원 희망마을은 400여 년 전부터 전통을 이어오던 백연을 이용한 연밥, 백연주, 백연차 등을 공동으로 생산·판매해 수익을 창출하고, 현재 보존 중인 100여 채의 고택과 담장을 민속마을 지정과 연계해 조성함으로써, 전통을 가미한 지역의 명소로 만든다, /서인교기자 igseo@kbmaeil.com

2012-06-15

문화예술행사·세미나 통해 다양한 경험 특수상황 소외계층 문화활동 역량 높여

프랑스 리용에 있는 유럽의 변두리(Banlieues d'Europe)는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 행사를 주최하는 유럽의 대표적인 민간단체다. 올해로 창립 22주년을 맞는 이 단체 대표 사라 르벵사진씨를 만나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복지 정책 등에 대해 들어봤다.-문화행사 등을 통해 소외계층의 삶의 질이 향상된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여러 사업을 통해 어떤 변화가 있었나.△그렇다. 문화는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문화는 소득과 관계없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삶에 환희를 가져다 주고 개인을 완성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소외계층에 있어서는 더욱 중요하다. 유럽의 변두리는 창립 이후 22년 간 소외계층을 위한 각종 문화예술행사와 워크숍, 세미나 등을 통해 이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하게 하고 사회·문화·교육적 사이에서 실질적인 활용을 지원했다.문화가 가져다주는 문화적인 중재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채택된 결과를 적재적소에 배치, 전문인들의 참가를 강화했다. 그 결과 소외계층의 문화참여가 늘어났고 특히 법으로부터 소외된 청소년 등 특수상황의 소외계층들의 문화활동 역량을 높임으로써 창조와 혁신적인 가능성을 개발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문화 분야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하고 보다 많은 소외계층들이 일상 속에서 문화가 주는 행복감을 느낄 수 있게 됐다고 생각한다.-소외계층들을 위한 문화복지정책에서 개선돼야 할 점이 있다면 어떤 것을 들수 있나.△우선 경제적, 지리적, 문화적으로 소외받은 계층들을 인지하기 위해서 각부 정책 개발은 특수상황의 소외계층들에 대해 발전된 중재를 약속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예산이 책정돼야 한다. 또 폐쇄되거나 경제적으로 취약한 소외계층들에 문화적인 행동 범위를 발전시켜야 한다. 이밖에 문화를 영속화 하는데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지방의 사회계층과 문화 프로그램 간의 특수 프로그램에 대한 보장과 지원이 보장돼야 한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12-06-15

`소통·현장행정의 달인' 장욱 군위군수에게 듣는다

현장에 가면 답이 있다. 장욱 군위군수가 민선 5기 2년 동안 한결같이 지켜온 행정 소신이다. 장 군수의 이같은 행정마인드는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군정에 반영하는 소통행정, 현장행정의 달인으로 통한다. 장 군수는 민선 5기 출범 군정목표를 `새로운 변화 희망찬 군위'로 정하고, 문화와 경제가 살아있는 전원휴양, 관광레저, 친환경 농업의 자족도시 건설을 표방했다. 이 군정 목표를 현장행정을 통해 풀어가고 있다. 특히 CEO 출신으로서 경영이론을 행정에 접목시켜 행정쇄신을 추진하며 군위군의 새로운 미래를 개척해 가고 있다. 장욱 군수는 “그동안 군민과 공직자들의 노력에 힘입어 과거에는 보지 못했던 역동적인 모습으로 군위의 자존심을 세우고, 군정의 각 분야에서 새로운 영광을 만들어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군위의 장점과 발전 잠재력을 바탕으로 문화와 경제가 살아있는 전원휴양 자족도시, 전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행복한 도시를 만들어 가는데 모든 열정을 쏟아붙겠다고 강조했다. 장욱 군수는 민선5기 출범과 동시에 읍면을 방문, 주민들과의 대화를 통해 군민들에게 민선 5기 역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군정 방향을 설명하고, 군정에 대한 협조를 요청하는 것으로 업무를 시작했다.지난 2년 동안 모두 3차례에 걸쳐 8개 읍면을 직접 방문해 다양한 계층의 군민들과 대화하고,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군정에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했다.또 지역을 대표하는 청년단체, 여성단체, 노인회, 이장협의회, 새마을단체 등 각급 직능단체들과 수시로 간담회를 개최해 군정이 추구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듣고 있다.현장 건의 사항에 대해서는 함께 참석한 실과소장들이 즉시 답변을 하고 대책을 강구토록 지시했다. 그는 “앞으로 검토하겠다”는 등 원론적인 답변은 “안하겠다는 말과 같다”면서 실질적인 변화와 수용을 강조했다.장욱 군수는 “현장 속에 답이 있다”라는 평소 소신과 신념으로 항상 군민들에게 다가가는 현장행정에 중시하고 있다.취임 이후 한 번도 빠지지 않고 군위 장날에는 시장을 찾아 상인들과 대화를 한다. 전통시장 장보기 행사를 통해 소비자들이 느끼는 현장물가를 직접 체험했다. FTA체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농업인들의 애로 사항을 직접 듣고 함께 고민하기 위해 각 읍면 및 작목별로 이루어지는 농업인 실용교육에도 거의 빠지지 않고 참석한다.취임 이후 빠짐 없이 장날 찾아농업인 실용교육에도 매번 참석간부 공무원 현장점검도 정례화또 농축산 현장 간담회 등 농업인 단체들과의 수시 대화를 통해 농축산 농가의 피해대책을 논의하는 등 농축산인들과의 이해와 소통의 폭도 넓혀나가고 있다. 지난해 겨울 전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구제역 파동 때는 자치단체장으로는 유일하게 직접 구제역 방제초소 근무를 하기도 했다. 저소득층 및 위기 가정, 장애인 가정, 다문화가정 등 상대적으로 소외되기 쉬운 어려운 가정을 수시로 방문해 생활실태 조사를 하는 등 다양한 계층의 주민들과 격의 없는 만남을 지속하고 있다.군위 군정은 사무실의 책상 위가 아니라 사업현장 중심 행정이다.간부공무원들은 읍면 이장회의에 반드시 참석해 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각종사업과 주민들이 알아야 할 유익한 정보를 알려준다. 또 군정 주요시책에 대해서는 공청회를 통해 군민들의 의견을 듣도록 하고 있다. 실과소장 및 읍면장은 주 1회 이상 사업장을 방문해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사업추진에 따른 애로사항과 문제점을 파악하도록 하고 있다.특히, 군위읍 소도읍 정비사업은 장 군수를 비롯한 모든 간부들이 사업현장을 수시로 방문해 주민들의 의견을 사업에 반영해 나가는 등 군위의 대표 볼거리로 만들어 나가고 있다.90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올해 말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위천테마탐방로에 대한 군민들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장욱 군수를 비롯한 실과소장, 군의회 의원들이 함께 위천테마탐방로 걷기 체험 행사도 열었다.기업 멘토링제 운영을 통해 관내에서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인들의 경영애로사항을 즉시 해결해 주며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노력하고 있다. 친환경농업 기술 및 지역특화작목 현장 교육, 여름철 현장 영농교육, 오지마을 방문 농기계 순회수리 및 안전교육, 영농 경영비 절감을 위한 농기계 임대 사업 등 농촌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농업인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밀착 행정을 추진하고 있다. 군위군의 가장 큰 현안사업인 삼국유사 가온누리조성사업 추진을 위해 중앙부처 관계관을 수시로 만나 사업내용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결과 의흥면 이지리 일원에 총 사업비 1천374억 원 규모로 사업을 확정하고 국비보조 비율도 70%로 높이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천연가스 공급지역 편입을 위해 지식경제부와 한국가스공사를 수시로 방문해 건의하고, 주민청원서 제출 및 1만 서명 운동 전개 등에 힘입어 천연가스 주배관망 보급지역에 포함시켜 2016년부터는 천연가스가 공급되도록 했다.삼국유사 가온누리·LNG 공급 등 굵직한 사업 국비 차질없이 확보 친환경농업연구센터 유치도 성공이밖에 효령·고로전투 기념공원 조성, 군위 전통시장 현대화사업, 군위역사문화 재현 테마공원 조성, 화본역 그린스테이션 조성, 김수환 추기경 `사랑과 나눔공원' 조성, 개발촉진지구기반조성, 국민임대주택(아파트) 건설, 부계~동명도로 개설, 영천~ 상주 민자고속도로 건설, 산호지구 지표수 보강, 마시지구 전원마을 조성, 위천 생태하천 조성, 신안천 고향의 강 정비사업, 군위통합상수도 설치, 군위 하수종말처리장 설치, 군위하수관거 설치, 가축분뇨 공공처리장 설치 등 말 산업육성과 웅녀마늘 상품화, 문화관광 인프라 구축 등 지역의 여건을 활용한 맞춤형 시책을 개발,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고 있다.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과 관련해 국토해양부와 한국철도공사를 수차례 방문, 건의한 결과 당초 의흥면 신호장 설치사업을 의흥역사 설치사업으로 계획을 변경함으로써 군위군은 물론 인접 시·군 지역 주민들의 철도이용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됐다.국가적 프로젝트인 친환경농업연구센터와 (재)경북농민사관학교 본부를 유치하는 성과를 올렸다.또 NH농협은행에서 설립계획 중인 `영남권 농자재 유통전문회사'의 지역 내 건립도 가시권에 들어와 있는 등 농업관련 기관을 잇따라 유치했다. 이들 농업관련기관 유치는 군위가 농업의 메카로 우뚝 설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 일이다. 군위군의 농업발전과 유입인구의 증가, 지역 브랜드 향상 등으로 지역경제 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장욱 군수는 이들 공공기관의 유치를 계기로 “군위군과 경북대학교와의 관학교류 협력체계가 더욱 공고해 질 것이고 신기술보급과 특화작목 육성으로 부자농촌 건설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또한 군위군은 경상북도 종합건설사업소 유치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관련기관을 방문해 군위는 경북의 가장 중심지에 위치한 유리한 접근성과 잘 구축된 각종 농업인프라 등 최적의 입지여건을 갖춘 점을 강조하고 있다.군위/김대호기자 dhkim@kbmaeil.com

2012-06-12

영일만항 날개달고 환동해 물류허브로 `우뚝'

영일만의 중심 `포항항'이 오늘 개항 50돌을 맞았다.신라 초부터 고기잡이 배들이 드나드는 경북동해안의 작은 어항이 1962년 오늘 무역항으로 지정된 것이다.동남부에 위치한 포항항은 국내 항만 중에서도 자연적인 조건과 입지적인 여건이 뛰어나기로 유명하다.무역항으로 지정된 이후 대구·경북의 해상 관문역할을 했고 1970년대 초부터 포스코 등 철강공단 물류를 취급하면서부터 국제무역항으로 발돋움했다. 특히 지난 2008년 영일만항이 개장하면서 환동해 중심항으로 바짝 다가서고 있다.50년전 고기잡이배 입·출항 작은 어항포스코 힘입어 대구·경북 해상관문 도약◇구항과 신항·영일만항 아우르는 포항항포항항은 어선과 연안여객선이 이용하는 항이었다. 6.25전쟁 때에는 군사전략상 요충지인 군사항으로 이용됐고 울릉도와 연결하는 연안여객선이 출발하는 항구로 동해안의 관문역할을 했다.그러나 지난 1968년 포항종합제철소가 건설되면서 종합제철소를 지원하기 위한 항만시설 확충을 통해 명실 공히 국제항으로 도약하기 시작했다.구항은 1962년 6월12일 국제항으로 개항했다. 신항 건설은 1969년부터 시작돼 포항종합제철 및 관련 공업단지가 들어서면서 건설이 이루어진 공업항이다. 국내에서 최초로 10만t급의 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었다. 1996년에는 영일만항 개발에 착수해 2009년 8월 대구·경북지방 최초의 컨테이너 부두를 개항했다. 신항 제1부두는 유연탄과 철광석을, 제2부두는 석회석·철강제품을, 제3·4·5·6부두는 철제품을, 제7부두는 철제품·잡화를, 제8부두는 철제품·고철 등을 주로 취급하고 있다.구항의 동빈부두에서는 어선 및 연안화물을, 송도부두에서는 유류 및 모래를, 여객부두에서는 여객선을, 화물부두에서는 연안화물을 각각 처리하고 있다. 영일만항에서는 컨테이너 및 잡화를 처리한다.동빈내항 복원사업과 동빈부두 정비 사업 등을 통해 구항에서 처리되던 어선 및 연안화물, 유류 및 모래 등은 송도부두나 영일만항을 통해 처리될 예정이다. ◇반세기 만에 물류중심항으로 도약환동해 중심항을 표방하는 영일만항이 개항을 하면서 포항항은 세계적인 항만으로 개발되고 있다.영일만항은 1996년 12월30일 어항시설과 1998년 7월 북방파제 1단계 축조공사가 시작됐다. 2004년 6월10일에는 당시 해양수산부와 포항영일신항만주식회사 간의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이 체결됐다.이어 2005년 12월21일 영일만항 북방파제 3.1km와 2006년 8월24일 영일만항 어항부두, 2009년 8월8일에는 민자부두 4선석이 준공되면서 영일만항을 개장한 것이다.특히 올해 4월 7일 영일만항 일반부두 2선석이 준공되면서 중국과 일본·러시아와 교류하는 환동해 물류거점항으로서 새로운 도약을 시작했다.도약에 발맞춰 영일만항 물동량도 급상승하고 있다.지난 달 물동량이 개장 3년만에 신기록을 경신했다.5월 물동량은 1만3천718TEU. 2010년 5월 4천1TEU, 2011년 5월 1만3천456TEU 보다 늘었다. 또 1월에서 5월까지의 누계물동량도 역대 최고치인 6만2천153TEU로, 2010년 1만3천892TEU, 2011년 4만7천558TEU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포항시는 포스코의 수출·입화물 증가와 쌍용자동차의 러시아 수출물동량 증가가 물동량 증가의 주된 요인으로 보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해 총 2만3천82TEU를 영일만항을 통해 처리했으며, 특히 지난 12월에는 포스코 창립 43년 만에 처음으로 선재(단면이 원형인 철강 제품) 72TEU를 벌크화물에서 컨테이너로 전환해 말레이시아로 수출했다.쌍용자동차는 올해 5월 현재 총 1만3천392대(2만832TEU)를 수출해 지난해 9천900대(1만5천400TEU) 대비 135% 증가하는 수출실적을 달성했다.이처럼 활발한 물동량은 영일만항 뿐 아니라 포항항이 세계항으로 도약하는 길이 멀지 않았음을 기대하게 하고 있다.포항시 관계자는 “포항항은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영일만항을 통해 더욱 발전할 것이다. 앞으로는 영일만항 물동량 확보를 통해 대북교역과 대구·경북의 산업을 주도하는 21세기 환동해권 물류 중심항으로 발돋움해 명실상부한 환동해권 물류허브(HUB) 기지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포항항 항세◇항계 : 포항시 북구 흥해읍 용한리 정동측 연장선과 포항시 술미에서 정북으로 연결해 맞닿는 선내수역◇항만구역 : 10만5천663천㎡(육상: 201만㎡, 해상: 1억365만3천㎡)◇해안선길이 : 334km◇수심 : 구항(3.5m~7m), 신항(3.5m~19.5m), 영일만항(2.5m~12m)◇선석수 : 54(신항 38, 구항 9, 영일만항 7)◇하역능력 : 8천678만t포항항 역사-1962 6. 국제항으로 개항-1969~1985 신항 1~6부두 축조-1985. 12 신항 7~8부두 축조-1986. 6 신항 관제실 준공-1987. 12 구항 송도부두 축조-1993. 12 구항 여객부두 축조-1996. 12 영일만항 개발 착수-2009. 8 영일만항 컨테이너부두 축조-2012. 4 영일만항 일반부두 축조/최승희기자 shchoi@kbmaeil.com

2012-06-12

“앞으로 50년 바다경영 시작”

포항항이 동빈내항에 국제무역항으로 문을 연지 12일로 50년째다.포항항개항 50주년을 맞아 포항은 야심찬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다. 소위 바다 경영이다.첫째는 동빈운하건설을 포함한 T7 오션프로젝트이다. 5월22일 착공에 들어간 동빈운하건설사업은 포항항이 있던 동빈내항을 세계적인 미항으로 만들자는 계획이다.형산강에서 죽도다리 앞까지 1.3km구간에 막힌 물길을 뚫어 관광레저산업을 유치하고 문화 공간을 만드는 한편 물길을 터 썩은 동빈내항의 생태를 살리자는 것이다. 해상공원을 만들고 운하주변지역을 `캐널시티'로 만들어 가장 살기 좋은 주거지역으로 조성할 계획이다.또 송도에 있는 사일로와 조선소 등을 모두 영일만항으로 옮겨 포항항이 있던 동빈내항을 세계적인 미항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송도해수욕장 백사장을 복원하고 송도해수욕장~북부해수욕장을 가르는 물길 위에 타워브리지를 건설하면 국제적인 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둘째는 환동해경제허브선언이다. 잘알려진대로 우리 포항은 세계적인 철강산업의 기반 위에 첨단과학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다. 아태이론물리센터에는 아시아와 태평장지역의 젊은 과학자들이 정부의 지원으로 육성된 뒤 자기 나라 등으로 돌아가 일하고 있다.막스플랑크한국연구소가 포항을 택한 이유는 훌륭한 과학적 성과를 낼 수 있는 인프라 때문이다.최근 정부가 발표한 기초과학연구단 10개 가운데 포항에 포스텍 기초과학연구단 4개가 선정된 것은 포항의 첨단과학인입지가 얼마나 탄탄하고 전망이 밝은지 보여주는 사례다.영일만배후산업단지에는 이미 중국기업과 일본기업이 들어와 있거나 공장 착공에 들어갔고 그 밖에 영국과 미국 등 전 세계에서 포항의 소재산업과 첨단과학인프라, 공장부지와 항만등 입지조건 때문에 끊이 없이 타진을 해오고 있다.이같은 여건 위에 포항을 일본서안, 러시아 극동지역, 북한 나진선봉, 중국 동북 3성을 아우르는 환동해경제허브로 자리 잡게 할 계획이다. 포항에 환동해경제블록의 사람과 기술, 자본, 금융, 문화 관광의 중심지로 만든 뒤 그 기반 위에 환태평양까지 영역을 넓혀가자는 것이다.셋째는 7월말에 열리는 아태도시서미트회의다. 포항항개항 50주년에 맞춰 열리는 이 국제적 회의는 13개국 30개도시가 회원이다. 포항시는 이번 회의 기간에 환동해경제허브 선언을 함으로써 환동해경제 블록내에서의 이슈를 선점하고 국제적 위상을 높일 계획이다.포항은 이미 2008년에 환동해거점도시회의를 포항에 유치했으며 회의에서 회원도시간 지역간 경제블록 형성, 통관절차 간소화, 페리호 운행, 사무국 개설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포항선언'에 합의를 이끌어내는 등 역내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포항항 개항 50년을 맞아 바다 경영의 의미를 생각한다. 자고로 바다를 지배하는 민족은 살아남고 그렇지 못한 국가는 억압과 박해 속에 신음했다.15~17C 대항해 시대에 스페인의 바르셀로나, 포르투갈의 리스본, 영국의 런던이 흥했고 우리나라는 항구를 봉쇄하다가 일제 침략의 아픈 역사를 간직하게 됐다.지난 8일 포항항 개항 50주년행사 및 시민의 날에 참석한 2만여명의 시민들의 축하 열기를 보고 다시 한번 깨달았다. 그것은 앞으로의 50년 바다 경영에 대한 시민들의 열망과 기대를 말해주고 있었다. 포항이 세계에서 가장 잘 사는 도시로 성장해 나가는데는 시민들의 이런 열정과 동참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도 새삼 깨달았다.이제 포항은 바다를 통해 5대양 6대주로 나가는 원심력을 가진 도시, 5대양 6대주의 사람과 물동량이 밀려오는 구심력을 가진 도시로 무한 성장할 것이다.동빈부두 한켠에 있는 `포항개항지정기념비'는 이같은 교훈을 우리에게 끊임없이 던져주고 있다.

2012-06-11

“환동해 중심항만으로 육성”

`포항항 개항 50주년'과 `포항시민의 날(6월 12일)'을 기념하는 행사가 지난 9일 성황리에 개최됐다.영일만과 시민의 젖줄인 형산강에서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민관군이 함께 참여한 해상퍼레이드가 개최돼 특별한 볼거리를 선사했다. 메인 행사장인 형산강둔치에서는 시민가요제와 골든벨, 스타킹, 읍면동 줄다리기, 향우회 감사나눔박스쌓기 등 시민들이 직접 만든 풍성한 부대행사도 곳곳에서 열렸다.전국 최초 민관군 공동 개최… 시민 등 5만명 참여해상퍼레이드 팀, 50년의 물동량 이동경로 재현각종 대회 및 음식점·미용실 등 할인행사도 마련◇포항항 개항50주년 시민의 날 행사 `성료'포항시는 지난 9일 형산강둔치에서 열린 행사에 5만명의 시민과 축하객들이 참여했다고 밝혔다.행사는 포항항 개항 50주년 기념 해상퍼레이드 팀이 형산강둔치에 도착해 개막식을 하는 것으로 막을 올렸다.기념행사에서 박승호 포항시장은 “포항항이 경북의 관문 항 역할을 해왔고 포항시가 발전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고 전제하고 “앞으로 환동해 중심항만으로 발전시키겠다”며 장학기금 공로자 시상, 포스텍연구단장 축하패와 홍보대사 위촉패 전달, 포항을 빛낸 시민 등 분야별 시정 유공자에 대한 시상을 진행했다.특히 개막식에서 앞서 펼쳐진 포항항 개항 50주년 해상퍼레이드는 민관군 합동으로 구성해 동빈내항에서 메인행사장까지 3.5Km 구간에 걸쳐 펼쳐졌다. 박승호 시장 등 1세에서 50세까지 6월 12일(포항시민의 날)생 50명과 62년생 개항둥이 50명을 태운 해상퍼레이드 팀은 형산강 둔치에 도착해 군악대 연주와 해군 사이드보이, 시민들의 환호를 받으며 50년 전 당시 포항항의 물동량 이동경로를 재현했다.포항항 개항50주년을 기념해 영일만항이 동북아 중심항으로 자리 매김하고자 하는 포항의 의지를 담아 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글로벌 포항호의 돛을 올리는 출항 세러모니가 2천20개의 오색풍선과 연막축포와 함께 행사 열기를 더했다.또 읍면동 예선을 거쳐 선발된 16명이 펼친 개항축하 시민가요제가 열려 흥을 돋았고 초청가수 틴탑이 축하무대에 나서 시민들과 함께하는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시민들이 만든 기념 행사이번 행사는 먹을거리와 볼거리·즐길거리 등 시민들 참여위주의 다양한 부대행사가 특히 눈에 띄었다.골든벨 `최고의 포항시민을 찾아라'에서는 회사와 단체 등이 온오프라인으로 참가신청한 1천여명의 신청자들이 포항시 관련 문제와 상식 등을 서바이벌 형식으로 풀었다.최고의 포항시민에는 32살의 박진용씨가 뽑혔고 2등은 포항시 민원콜센터에 근무하는 곽미정(34·여)가 차지했다.끼와 재능을 볼 수 있는 포항시민 스타킹 대회 1등은 8명으로 구성된 최윤경 댄스컴퍼니 팀이 방송재즈댄스로 우승을 했고 2등은 합기도 댄스를 선보인 포항합기도협회가 차지했다.메인무대 왼쪽에 자리 잡은 `포항의 어제와 오늘 사진전'에서는 50~60년대 포항시가지와 현재의 포항시가를 담아 시민들의 눈길을 끌었다. 28개 각 읍면동을 대표 50명씩 출전한 줄다리기 대회에서는 연일읍민이 최고 자리에 등극했다.중앙상가에 입점한 상가들도 시민의 날 축하에 적극적으로 동참했다. 전체 상가의 절반에 가까운 200여개 음식점과 의류가게, 미용실 등은 가격의 3~5%를 할인하는 행사를 했다.또 포항바다화석박물관은 무료입장, 롯데시네마극장은 영화관람료를 2천원 할인해줬다./최승희기자shchoi@kbmaeil.com

2012-06-11

울진 불영계곡을 가다 (18)

여행을 다니다 보면 우리나라에서 사람들의 발길에 유린 당하지 않은 자연그대로의 비경을 찾기란 그리 쉽지 않다. 특히 비경으로 이름나기만 하면 그 모습을 온전히 간직 하기란 더 어렵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방송이나 사람들의 입을 통해 이름난 곳이다 하면 곧바로 물밀듯이 모여들어 주변환경을 변화시켜 버린다. 이러한 우리의 상황에서 볼때 아직 울진에 있는 불영계곡은 단연 돋보인다. 오래전부터 그 명성이 자자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숨겨진 비경은 더욱 감동적이다.이끼한점 없는 바닥에 티끌없이 비춰내는 선유정 계곡짅진잠교서 불영사 입구 이십리 중 최고의 백미로 꼽혀의상대사 창건 불영사·덕구온천 등 `또다른 즐길거리'불영계곡을 처음 만난 것은 수년전 겨울, 강원도 정선쪽으로의 여행을 마치고 돌아오는길에 강원도 태백에서 소천면을 끼고 울진방향으로 내려오는데 그해 겨울이 워낙 눈이 많이 내린 해 였다. 처음엔 어디로 돌아가고 있는지도 모른채 눈길 치워진 곳을 따라 조심조심 차를 몰고있는 내 눈에 처음 들어온 풍경의 불영계곡은 그냥 현실이 아니라 꿈속의 모습, 신선들이 날아다니는 그런 신비, 그 자체였다.수천년 동안을 거치며 빗물이 바위틈을 흘러 내리면서 만들어낸 물길과 물에 닳아 반들반들해진 넓은 청석들. 항아리같이 패여진 암석들…. 웅장하고 이름난 폭포하나 없지만 기암절벽사이를 뚫고 바위틈을 흘러내리는 청류와 소나무사이로 보이는 계곡의 그 시원함이나 맑고 깨끗함은 과히 최고라 할만하며 어디엔들 비할곳이 생각나지 않는다. 계곡옆을 달리는 아스팔트 도로가 개통되어 계곡 특유의 한적함이나 적막함은 없어졌지만, 계곡으로 들어서는 곳곳에로의 발길을 막아놓아 태고의 계곡미는 그대로다. 역시 불영계곡의 최고의 자랑거리는 맑은 청류와 계곡 주위를 장식하고 있는 기암절벽, 그리고 노송들이다. 차창밖으로 내려다 보노라면 절로 아찔해 진다.불영계곡으로의 여행의 출발점은 울진의 젖줄이라 하는 왕피천에서 부터다. 포항에서 울진으로 가다보면 수산교차로에서 왕피천을 왼쪽으로 끼고 영주와 봉화방면으로 좌회전하면 불영계곡으로 가는 길에 들어서게 되는데 진잠교를 지나 삼근 2리에 이르는 15km 구간이 불영계곡이라 명명되는데, 이 중에서도 진잠교에서부터 불영사 입구까지의 이십리가 진짜 불영계곡의 묘미를 느낄수 있는 곳이라 한다. 한참 달리다 보면 중간에 2층의 팔각정인 불영정과 선유정이 경치좋은 곳에 세워져 있고, 곳곳에 관광버스에서 내린 행열들이 삼삼오오 식사를 하고 있다. 불영계곡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곳은 선유정에서 200여m 올라간 지점에서 내려다 보는 계곡미. 스~윽 둥글게 휘어진 계곡 주위로 노송과 기암들이 저마다의 폼새를 뽐내고, 크고 흰 화강암과 청아한 물길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곳이다. 물줄기는 이끼 한점 없는 바닥에 티끌하나 남김없이 다 비춰내고있어 물을 바라다보면 그속으로 빠져 들어갈 것 같다.불영계곡의 중심에 천축산 불영사가 있다. 불영사는 신라 진덕여왕 때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하고, 보물 1201호인 대웅보전은 안에 있는 탱화의 기록으로 영조 원년(1725년)에 세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한다. 불영사는 별로 눈에 뜨이는 특이한 것도 웅장함도, 그렇다고 모자란것도 없는 고찰이다. 전설에는 약 1천300백년전 의상대사가 절을 창건 할 당시 다섯 마리의 용이 이곳을 떠나지 않아 주문으로써 퇴치하려 하였으나 그 중 한 마리가 폭포로 숨어 들었다는 곳이 지금의 불영폭포이다. 법영루 앞에는 제법 커다란 연못이 있는데, 산 위의 부처님 형상을 한 바위가 이 연못에 비쳐 구룡사에서 불영사로 이름을 바꾸었다는 얘기가 전한다.물과 산이 서로 얽혀 산태극 수태극의 지형을 이룬 곳 답게 수면에 돌부처의 모습이 비쳐 불경 이란 이름이 유래 된 이 곳은 얼마 전 까지만 해도 왕피천으로 연결 된 광천을 헤엄치는 은어가 꽤 많이 있었다고 하지만 지금은 은어가 별로 눈에 뜨이지 않는다.주변관광지로는 대게로 유명한 죽변항 가까이 TV 드라마 `폭풍속으로' 세트장이 있다. 언덕 위에 선 흰 등대와 옛스럽고 이국적인 한 채의 집, 배경으로 펼쳐진 바다가 많은 연인들의 로맨스를 이끌어내기에 충분하다. 여행에 온천이 빠질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덕구온천을 여정에 넣어도 좋을 듯. 덕구온천은 자연용출 약알칼리성 온천으로, 데우거나 식히지 않아도 항상 41.8도를 유지한다. 목욕을 마치고 나면 피부가 매끈매끈해지고 근육통도 한결 덜하다는 입소문이 자자한곳이다. 또한 덕구온천 스파월드는 기포욕, 마사지 시설, 노천온천, 액션스파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춰 덕구온천지구에서 가장 인기 있다. 그밖에도 많은 코스가 있지만 역시 불영계곡의 정취만큼 더 좋은것이 있을까.희뿌연 넓적바위 위에 걸터 앉아 스케치북에 연필을 대는 순간 성철 스님의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라는 말이 갑자기 스쳐지나간다.

2012-06-11

울릉군민 큰 걱정거리 '먹는 물' 속 시원히 해결되나?

△K-water, 울릉군 수도시설 운영정상화사업 착수오랜기간 울릉군의 숙원과제였던 지역 수도시설 운영정상화 사업이 본 궤도에 올랐다.지난 2002년부터 사업 본 궤도까지 국내 물 전문최고기관인 K-water는 울릉도의 지형적인 요인으로 인한 먹는 물 문제를 해결을 위해 울릉군과 상호협약을 맺고 K-water는 총 수탁사업비 137억원을 투입 해 울릉군수도시설 3개소(북면정수장 1,000㎥/일, 사동정수장 500㎥/일, 저동정수장 300㎥/일)와 나리마을하수도시설(140㎥/일)을 건설했다.이들 4개의 상하수도 시설물은 울릉군으로부터 사업비를 받아 K-water가 설계·착공부터 준공까지 전 과정을 도맡아 지난 2007년 북면상수도를 준공하면서 울릉 수도시설은 완공되어 갔다.하지만 미숙한 운영과정에서 발생된 상수도 시설 누수로 인해 불거진 관의 매설심도도 부족과 송수관압이 너무 높아 정상적인 수돗물 공급에 미흡하는 등 정수장의 정상가동을 못하겠다는 울릉군과 Kwater와의 실랑이가 이어지는 등 책임공방이 오가며 상하수도 시설물(북면·저동)은 2007년 준공 이후 현재까지 가동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그동안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K-water는 울릉군과 협의과정을 통해 양 기관의 협조와 양보로 지난 2010년 3월, 이들 4곳의 상하수도 시설물에 대한 운영정상화를 위한 추가협약을 체결하는 등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하나씩 찾아 나갔다.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으로 △제3의 기관의 시설물 진단 의뢰 △이에 따른 진단결과에 따른 개선공사 시행 △3개월 간의 시범운영기간동안 물 정상공급 등의 시험 성공 시 양 기관은 시설물 인계인수와 더불어 이후 2년 간 시설물 안정화를 위한 담당자의 교육 및 기술검토 등을 지원한다는 내용이다.이에 그동안 책임을 회피한다는 주위의 시선을 아랑곳 않고 K-water는 이번 협약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 국내 물 전문기관으로서 울릉도 지역주민들에게 양질의 수도물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에 울릉군과 지역민들의 굳게 닺힌 문을 열었다.특히 이번 협약 후 지난 2년여 동안 K-water는 기술진단 실시와 숨겨진 문제점들을 하나하나 발굴하고 이러한 문제점들이 관리소홀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설계 및 시공 상의 문제인지를 소상히 밝히는 한편 양 기관의 역할을 분류하면서 울릉도 지역 주민들의 물 문화에 대한 편의 제공의 길을 텃다.K-water포항권 안효원 관리단장은 “그간 논쟁이 됐던 매설심도 부족건은 제3의 전문기관의 진단결과, 수도관의 안전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평가됐다”며 “하지만, 정상적인 물 공급에 장애요인이었던 수압 및 누수문제 해결을 위해 가압장 8개소와 감압밸브 7개소 추가설치와 관로 전 구간(약 31㎞)에 대한 누수탐사 및 복구공사, 그리고 취·정수장의 일부 설비 및 시스템 보완 등을 통해 울릉군 수도시설이 안고 있는 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물과 관련 국내 최고 10여명의 산·학·연 자문단 구성정수·하수처리장, 관로시설개선 공사 등 연내 마무리 △울릉 수도사업 개요이번 울릉군 수도시설 운영정상화 사업을 위해 K-water는 총 3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정수장 및 하수처리장(계측제어포함), 관로시설(관압개선) 개선공사를 비롯해 누수탐사 및 복구(북면·사동·저동관로 31㎞ 전 구간)가 시행될 예정이며, 종합시운전(울릉군 합동·교육포함)을 통한 최종 점검 후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가게 된다.특히 K-water는 국내 최고 수준의 누수탐사업체와 시공 및 시운전 업체참여 그리고 지리적 여건 및 완벽한 품질관리를 위해 책임감리 업체 선정과 함께 사업시작 단계부터 운영정상화에 요구되는 각종 기술절 지원 및 객관성 확보와 착공단계부터 인계인수까지 예상되는 문제점들에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물 관련 국내 최고의 산·학·연 10여명의 자문단도 구성·운영 할 방침이다.안효원 단장은 “울릉도사업은 약 10년전 K-water가 의욕을 갖고 추진한 지방상수도 1호 사업이었던 만큼 상징성이 매우 큰 사업이었지만, 그동안 여러 문제점들이 복합적으로 누적되어 물 전문기관인 K-water 이미지에 적잖은 손실을 끼쳤다”며 “이번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울릉군과의 신뢰관계 향상을 통한 물 전문기관의 위상에 걸맞게 K-water가 울릉군 수도시설 운영정상화를 위해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고 강조했다.특히 현재 개선 및 보완공사와 누수탐사 작업이 진행 되는 가운데 K-water포항권 관리단 전 임직원은 K-water가 보유하고 있는 첨단기술과 노하우로 안전적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시설 및 현안사항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하는 한편 울릉군민의 안정적 용수공급과 울릉군 지역과 함께하는 공기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연내 사업을 안정적으로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끝으로 안효권 단장은 “이번 사업이 K-water와 울릉군 간의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해 원활하게 마무리된다면 양 기관의 신뢰회복과 더불어 그간 간이상수도를 이용해 취수를 하고 있는 울릉군 군민들의 식수난도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황태진기자 tjhwang@kbmaeil.com

2012-06-08

부처간 다양한 통로 마련 다원주의적 행정 추진

프랑스는 문화선진국으로 문화를 통한 국민의 삶의 질이 선진국으로 통하는 곳이다. 국민의 문화정책을 담당하는 문화·커뮤니케이션부 정책담당관과의 인터뷰를 통한 소외계층을 위한 실질적 문화복지정책을 알아본다. 지난 4월10일 파리 생 오노레가에 있는 문화·커뮤니케이션부에서 장 필립 모숑 국제교류 및 법률부서 담당, 에밀리 니꼴 교육·문화예술발전 부서 담당관과 인터뷰를 했다. 글 싣는 순서① 경상북도의 문화복지 현주소② 경북도내 문화사각지대 현장③ 경북도민 대상 문화회관 등 문화시설 이용 설문④ 경북도청 문화바우처 허와 실⑤ 경북도청 문화정책 진단⑥ 프랑스 문화부 소외계층 문화정책 들여다보기⑦ 독일 등 유럽의 문화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정책⑧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정책 수립 제언 -문화는 인간 본연의 삶의 질을 높이고 나아가 한 도시는 물론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문화 선진국으로 불리는 프랑스에서는 문화복지를 담당하는 전담부서가 있는가. 그러하다면 소개해달라.◆사회적 측면 뿐만 아니라 문화적 측면에서도 가장 근본적인 것이 문화복지 발전이다. 프랑스 문화·커뮤니케이션부는 매우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59년 문화부 개설 이후 초대장관인 앙드레 말로는 당시 대통령 샤를 드골과 매우 각별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이후 문화장관은 프랑스 정책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른 유럽과 비교해서 프랑스 문화부는 문화재 및 박물관, 미술관, 건축정책 뿐만 아니라 공연과 조형예술,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관련 정책에서 큰 경쟁력을 갖고 있다. 특별히 이 정책들은 모든 부처와 연관된 문제들로써 문화적 소외 계층이 문화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부처와 관련, 협력을 필요로 한다.전반적으로 말하자면 첫째로 프랑스의 경우 문화부장관이 정치적으로 매우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항상 문화부 장관은 전통적으로 대통령과 항상 각별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이는 프랑스가 문화정책에 큰 비중을 둘 수 이슨 토대가 된다. 둘째로 문화부장관은 매우 다양한 정책을 책임지고 있다. 문화재뿐만 아니라 예술적 창조활동, 미디어 정책 등 매우 광범위한 분야를 책임지면서 이는 다른 행정부처들과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 문화는 경제 발전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예를 들어 관광 분야의 경우 관광부와 협력하며 소외 계층들이 문화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협력하는 일은 사회부와 협력하는 등 문화부는 항상 다양한 부처와 다양한 문제를 위해 협력한다.사회적 분야에 있어서 프랑스는 3가지 중점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첫째로 사회적 공존 문제를 위해 다양한 부서와의 협력을 모색한다. 예를 들어 교도소에 수감 중인 청소년들을 위해 법무부와 협력하며 병원에 있는 환자, 장애인, 노인들을 위해 보건부와의 협력을 한다. 사회적 공존을 위해 아직 협력이 이뤄지지 않은 분야에 대해서는 다양한 협약을 하기도 하며 부처와의 협약이 없다 해도 국가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협회와 협력해 아직 문화혜택을 받지 못하거나 제외된 사람들이 문화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협력한다. 특별히 `법률(loi)2005'는 국가로부터 혜택을 받는 모든 기관들의 경우 국민 모두가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둘째로 국토(territoire)에 대한 정책, 이는 사회적인 문제를 포함하며 농림부 및 도시부와의 협약을 통해 문화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지역의 발전을 위해 협력하는 등 매우 구체적인 액션을 취하고 있다. 또 젊은이들의 예술교육을 위해 노력한다. 이는 정부가 우선적으로 중요도를 부여하는 분야로써 아주 어릴때부터 예술 교육을 통해 문화 예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되고 있다. 중·고등학교 등 특별히 문화적 혜택이 적은 도시에 위치한 학교 등에는 우선권을 부여하기도 한다.결론적으로 문화부는 문화적 혜택을 받지 못하는 계층들을 위해 항상 다양한 부처와의 협력을 통해 문제에 접근한다. 프랑스 문화정책을 언급하기 위해서는 이는 단순히 국가의 문화정책을 말하는 것이 아닌,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정책을 함께 말해야 한다. 국가는 문화 분야에 있어 자금의 30%만을 담당하고 있다. 때문에 각 지방자치단체의 현실에 따라 다르며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중요한 문화 분야 개입을 전제로 한다. `함께 잘사는 사회' 모토… 광범위한 분야 책임 맡아연대책임연합과 협약 노숙자주거·문화혜택 제고 노력문화기관간 네트워크 형성… 차 별없는 문화정책 마련바쓰 노르망디의 장애인프로젝트 등 지자체 정책도 주목-스스로 문화 향유의 기회를 누리지 못하는 소외계층을 중심으로 하는 프랑스의 문화복지 정책을 소개해달라.◆구체적으로 말한다면 가장 최근 2010년 연대책임연합(grande association de solidarite)과 협약을 체결했다. 이는 매우 불안정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을 위해 협력할 수 있는 토대가 됐다. 예를 들어 노숙자들의 주거문제 등이 그것이다. 또한 교육을 통해 모두가 문화 예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문제 등이다. 이는 국민들 가장 가까이에서 구체적인 정책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2010년 `유럽의 해'에는 가난과 사회적 소외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통합(cohesion social)부서와 협력했고 이는 소외계층의 문화복지 혜택을 늘리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된 계기가 됐다. 또한 유럽 전체가 이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되기도 했다.문화기관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대형 미술관들과 문화부의 네트워크 구성과 협력한다. `함께 사는 잘 사회'(VIVRE ENSEMBLE)의 미션을 함께 나누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인 프로젝트와 교류를 위해 협력하고 매년 포럼을 개최하고 협회들이 문화 기관들과의 만남을 통해 그들이 진행중인 프로그램을 홍보하는 등의 행사를 한다.이밖에도 프랑스의 문화행정이 활성화 되기 시작한 58년 제5공화국 들어서부터 문화의 집을 비롯해 문화활동센터, 문화발전센터 등 지역단위의 공공문화시설들을 통해 계층에 차등 없이 모든 국민들이 연극, 무용, 영화 등을 관람하거나 도서관, 음반감상실, 만남의장소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이처럼 프랑스는 국민들의 문화활동의 지역적 다양화를 증진하고 문화적 활력을 중요한 기치로 내세우는 다양한 문화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이는 고급문화에의 접근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서구사회의 인간적,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는 창의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인가를 중요하게 고려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특히 문화정책에 대한 부처간 종합적인 접근을 시도했으며 자유주의적이고 다원주의적인 행정을 추진했다. -특히 어느 지역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그 효과는 어떠한가.◆이와 같은 다양한 부처들간의 교류는 지역에도 전달된다. 가장 주목할 만한 지역은 `랑그독후시용'지역이다. 특별히 젊은이들의 창조활동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다. 매년 국가적 차원에서 프로젝트를 기획해 지역적인 차원에서 매우 잘 적용된 사례이다. `바쓰 노르망디'의 경우는 장애인들을 위한 프로젝트가 발전된 지역이다. 특히 국가적 차원의 세미나를 개최하고 매년 5월 문화 소외계층의 문화 혜택 확대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프랑스는 문화선진국으로 문화를 통한 국민의 삶의 질이 선진국으로 통하는 곳이다. 인간 삶에 있어서 문화복지정책의 중요성은 무엇이라 생각하나.◆문화혜택은 다른 것과 비교해 가장 기본적인 권리라 할 수 있다. 문화부는 역사적으로 미술관, 도서관, 극장 운영을 통해 경제적인 이윤을 남기는 것이었지만 20년 전부터 대중들을 위한 정책들이 크게 발전 됐다. 문화부 자체의 정책 뿐 아니라 각 문화 기관들 또한 대중 관련 정책들을 발전시켰다.대형 미술관을 비롯해 문화부와 문화부에 속한 관련기관들이 대중들을 끌어들이고 대중과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해 노력하며 학교들과 교류를 통해 아뜰리에를 진행하는 등 아이들이 문화기관을 방문하고 예술 작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파리 12구에 있는 이민역사박물관의 경우 특별히 학교들과 연계 프로그램 진행의 좋은 예라 할 수 있다.두 교수가 진행하는 아뜰리에, 박물관 견학 프로그램 진행 등 프랑스 문화 기관은 단순히 대중들을 맞이하는데 만족하지 않고 다양한 프로그램 기획을 통해 적극적인 방식으로 대중들을 끌어들이는 노력을 한다.프랑스의 경우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함께 잘사는 사회'를 지향하면서 사회활동 협회들과의 협력, 특별히 문화는 불안정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스스로를 교육하고 형성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그들이 다시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도와주는 등 공존적인 사회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경상북도 문화정책의 허와 실'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 취재 지원을 받았습니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12-06-08

재경 대구·경북 시도민 회장 이상연 (주)경한코리아 대표

▲ 재경 대구·경북 시도민 회장 이상연 (주)경한코리아 대표“오는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운동장에서 2012년 정기총회 및 서울에 사는 대구·경북향우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대구·경북인 한마음축제가 열립니다. 지난해에 비해 규모나 행사내용을 확대해 체육대회를 통해 고향사랑하는 마음과 함께 대구·경북인의 화합과 결속을 다지는 한마음축제의 장으로 만들 생각입니다”이상연 (주)경한코리아 대표는 지난 4월 재경 대구·경북시도민회장으로서 연임된 이후 2012년 정기총회 및 한마음축제 행사 준비에 눈코뜰새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특히 이 대표는 지난 해부터 시도민회관 건립사업 추진에 나서, 본인이 솔선수범하는 자세로 5억원을 출연,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가장 잘 실천하고 있는 대구·경북 대표 기업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재경 대구·경북시도민회관은 총 사업비 150억원을 들여 대지 200여평에 연건평 1천200여평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다.-올해 대구·경북인 한마음축제 준비는 잘 되고 있는지요.◆대구·경북 시·군향우회 별로 각각 250명 이상씩 참석하도록 독려하고 있고, 지역에서도 시·군별로 40명 이상씩 참석할 예정이어서 5천명이상이 참석하는 대규모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입장식도 고향의 문화와 특색을 살려 풍물단과 농악대 등을 동원하는 등 향우들의 결속을 다지는 계기를 만들 생각입니다.-한마음축제 프로그램을 간략하게 소개해주시죠.◆입장식에 이어 박 터트리기, 공굴려 이어달리기, 줄다리기, 협동 공 튀기기, 굴렁쇠 굴리기, 삼손계주달리기 등의 종목으로 체육대회 겸 화합의 장으로 꾸며집니다. 푸짐한 먹을거리와 막걸리 등을 준비할 예정이오니 향우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상품도 많이 준비했습니다. 시군 특색을 살린 화려한 입장식을 한 팀에게 입장식상, 최다인원참가상, 화합응원상, 경기종합단체상, 효자 효부상, 자녀 5인이상 참석한 다복가정상, 풍물단 및 농악대 참가특별상을 시상할 예정입니다.-지난해와 달리 특별히 준비하는 게 있다면.◆별도의 장소에 시군 고향특산물 전시 판매장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단순히 체육대회만이 아니라 고향발전을 위한 기회도 함께 만들어보자는 취지입니다. 또 고가의 행사경품을 준비해 많은 향우들이 폐회식까지 자리를 지킬 수 있도록 하고, 참가자 전원에게 기념품도 전달할 생각입니다. -재경 대구·경북시도민회의 최대 현안사업인 시도민회관 건립사업 추진현황은 어떻습니까.◆지난해 10월12일 향우회장단 회의에서 회관 건립추진 기본안이 확정됨과 동시에 건립추진기획단이 구성돼 기금 모금운동이 활발히 진행중입니다. 건립기금은 제가 먼저 5억원을 우선 출연했고, 각 시군 향우회 및 직능단체별 2천~3천만원 목표의 건립기금 모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 가급적 많은 향우들이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차원에서 `1인1구좌 갖기 운동`을 전개해 지난달 23일 현재 500여명이 동참한 상태입니다.-향후 시도민회관 추진 전망은 어떻습니까.◆내년 상반기 중 회관건립기금 150억원 모금을 완료하고, 내년 하반기에는 회관건립공사에 들어가 2014년에 완공할 계획입니다. 현재 기금모금 실적은 5억4천여만원으로, 아직 본격 궤도에 오르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조만간 향우회 및 직능단체 기금 모금이 궤도에 오르고, 1인1구좌갖기운동을 적극 펼쳐 시도민회관 건립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을 수 있을 것으로 믿습니다. 오는 9일 한마음축제 행사때는 그간 모금된 기금을 전달하는 행사를 갖고, 모금운동을 더욱 독려하는 계기를 삼을 생각입니다. 무엇보다 시도민회관에는 대구·경북 시·군 사무실 및 특산물 상설판매장을 유치·개설할 계획입니다.-시도민회관은 어떤 용도로 쓰게 됩니까.◆시도민회 사무실 및 회의실은 물론이고 대구시 및 경북도 서울지사 사무실이 입주할 계획입니다. 또 각 시군 향우회 및 서울지사 사무실, 그리고 고향특산품 상설판매장도 함께 유치·개설해 명실상부한 재경 대구·경북시도민회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할 생각입니다.-자체 행사로 진행하고 있는 `경북 정체성함양 연수`프로그램은 어떤 내용입니까.◆올해부터 안동 국학진흥원을 중심으로 1박2일간 진행되는 인성교육프로그램으로 경북도 지원사업입니다. 내용은 경북지방 중심으로 고향선비들의 삶과 사상에 대한 교육과 전통문화 등의 체험, 조국근대화를 선도해온 경북도내 산업단지의 방문 등을 통해 700만 출향인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친목과 화합을 도모할 목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올들어 사무국장단, 시군 청년회원, 여성위원회 등 이미 4차례 연수를 실시했고, 오는 7월에도 시군향우회의 읍·면민회장 등을 대상으로 연수교육을 실시하는 등 모두 10여차례 1천여명을 대상으로 연수프로그램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특히 내년에는 출향인들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10차례 연수를 실시해 애향심을 지속적으로 고취할 작정입니다.-해외 향우회 단체와 자매결연도 맺었다고 들었습니다.◆지난달 3일 미주 대구·경북 향우회 총연합회 최한종 회장을 비롯, 박치우 수석부회장, 임송죽 여성부회장 등이 시도민회를 방문, 자매결연을 맺었습니다. 양측은 이 자리에서 대구·경북인으로서의 자부심을 고취하고, 투자유치 등을 통해 고향발전에 기여하기로 뜻을 같이 했습니다.-시도민회 활동으로 봉사하느라 사업에 애로가 많을 텐데, 어떻습니까.◆사업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오는 8월이면 창원산업단지 공단에 연건평 8천500평의 공장이 새롭게 완공돼 사업도 더욱 확장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100여명의 직원이 자동변속기 관련 밸브류 등을 생산하고 있는 데, 공장 완공에 발맞춰 신규직원 채용도 서둘러야할 상황입니다./김진호기자 kjh@kbmaeil.com

2012-06-05

포스텍, 설립 26년만의 신화… `세계 명문대` 우뚝

▲ 김용민 총장우리나라 최초 연구중심대학을 표방하며 지난 1986년 12월 개교한 포스텍(총장 김용민)이 지난 5월31일 영국 더타임즈에서 발표한 `설립 50년 미만 세계대학 평가`에서 세계 유수 명문대를 제치고 당당히 1위를 차지했다. 이 평가에서 한국 대학이 1위에 오른 것은 최초지만, 어찌 보면 포스텍이 1위를 차지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인지도 모른다. 포스텍은 이미 지난 2010년 더타임즈가 세계 대학 200여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세계대학평가`에서도 국내대학 중 유일하게 28위에 오르는 등 연일 새로운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사람으로 치면 26세, 자신의 미래를 위해 고민하고 망설임도 많을 시기에 당당히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은 포스텍의 이같은 신화에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포스텍의 강점 `연구`포스텍은 국내는 물론 세계 대학 중 연구부문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상대적으로 `젊은` 대학을 대상으로 한 이번 대학평가에서 포스텍은 교수당 논문 수, 연구비 규모 등 연구 관련 평가 점수 66.8을 받아 스위스 로잔공대나 홍콩과학기술대학을 제치고 100위권 대학 중 1위를 차지했다.포스텍은 유독 연구와 관련된 지표에서 강세를 보였다. 논문의 영향력을 판단하는 논문당 피인용수 항목인 `인용도(Citation)` 부문에서 92.3점을 받아 4위를, 산업체로부터의 기술이전 등의 수입을 따지는 산업체 수입(Income from Industry) 부문에서 만점을 받는 등 연구 관련 지표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으면서 당당히 1위를 차지했다.이뿐만 아니라 교육 여건 역시 세계적으로 최고임을 인정받았다. 교수 대 학생 비율이나 학위수여 실적, 교육관계자들의 동료평가를 바탕으로 해 평가의 30%를 차지한 교육여건 지표에서 포스텍은 카이스트에 이어 2위(65.9점)에 올랐다. 포스텍의 영원한 `맞수` 카이스트의 경우 교육과 연구는 비슷한 평가를 받았지만 논문 인용도(47.1점)에서 포스텍에 뒤져 5위에 올랐다.평가를 주도한 필 배티 더타임즈 하이어에듀케이션 편집장은 “두 대학은 이미 세계적 리더”라면서 “불과 몇십년만에 수세기동안 명성을 쌓아온 대학들을 제치고 이만한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높이 평가했다.포스텍이 이렇게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세계적 수준으로 자리잡은 점에 대해서는 이미 지난해 세계은행(World Bank)에서도 높이 평가했다. 자밀 살미(Jamil Salmi) 세계은행 고등교육조정관은 `변방의 세계적 연구중심대학`이란 보고서를 통해 포스텍을 “지방 소재, 사립 등 여러 불리한 조건에도 개교 25년 만에 세계적인 대학으로 올라서는 놀라운 성과를 이뤄낸 점은 상당히 눈여겨볼 만하다”고 평가한 뒤 “뛰어난 리더십과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으로 자리 잡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며 포스텍의 성공 비결을 리더십에서 찾았다. △연구와 교육에 관한 포스텍의 노력개교 초기부터 포스텍은 우수 교수 발굴·유치는 물론 석학교수 적극 초빙을 통해 이미 교원의 수월성을 구축하고자 노력해 왔다.초빙뿐 아니라 포스텍은 엄격한 정년보장 심사제도로 교수들의 교육·연구 수월성을 극대화하는 한편 우수연구인력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연구활동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그 예가 바로 POSTECH Fellow 와 청암 Graduate·Postdoctoral Fellowship 제도다. POSTECH Fellow는 정년보장 교수 중 10% 선에서 우수 연구 및 교육 실적이 있는 교수를 대상으로 선발해 추가 인센티브 지급, 대학원생 및 연구실 추가 배정, 정년 연장 등 파격적으로 지원하는 제도다.대학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 중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청암 Graduate·Postdoctoral Fellowship은 우수연구인력 개발을 위한 제도로 볼 수 있다. 이 제도는 우수 대학원생, 박사후연구원을 대상으로 국내 최고의 장학금 및 연구비를 지원하여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이외에도 포스텍은 학생 1인에게 투자하는 연간교육비가 6천370만4천원으로 전국 대학 평균 투자비의 6.5배, 최저 대학과의 차이가 20배 이상으로 전국 대학 중 최고 수준의 교육비를 투자하고 있다. 장학금 역시 전국 최고 수준으로 이와 같은 투자와 지원은 학생들이 무엇보다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큰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다.특히 소수정예의 엘리트 교육을 지향하고 있는 독특한 교육프로그램도 포스텍만이 가지는 강점이다. 매년 320명을 선발하는 포스텍은 1,2학년을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숙대학(Residential College), 재학생의 80% 해외경험 기회 부여 등 타 대학에서 실시하기 어려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이뿐만 아니라 최근 발표된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단장 10명 중 화학과 김기문 교수, 수학과 오용근 교수, 물리과 정상욱 교수, 융합생명공학과 찰스 서 교수 등 4명이 포스텍 교수로 알려졌다. 대한민국의 기초과학 수준을 발전시키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받는 연구단을 이끌게 되는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1차 선정에서 무려 4명의 교수들 이름을 올린 포스텍은 단일 대학으로 가장 많은 연구단장을 배출해 학계의 부러움을 사기도 했다. △포스텍, 세계 최고 연구대학으로 앞서가기 위해서는이러한 포스텍의 연구성과 바탕에는 첨단 연구 인프라가 있다. 세계 최고의 기초과학 연구기관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의 한국연구소 비롯해 △국내 유일의 가속기연구소인 포항가속기연구소 △국내 대학 최대 규모의 생명공학연구센터 △나노 기술 개발 핵심 연구거점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는 포항나노기술집적센터 △국내 유일의 지능로봇 전문 독립 연구기관 포항지능로봇연구소 등 이미 포스텍은 대학교가 아닌 하나의 대규모 종합연구소로도 볼 수 있다.특히 포스코,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포항테크노파크와 함께 산-학-연 협력 체계를 확고히 해 국내▲ 포스텍 생명동 동물배양실에서의 생쥐 실험.최대의 RD단지를 형성했다는 점에서 산업계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기도 하다.현재 최고가 된 포스텍이 앞으로도 세계 최고 연구대학으로 앞서 나가기 위해서는 남은 과제도 있다.이에 대해 포스텍 화공 박사과정 황희성씨는 “다른 대학과 차별화되는 강점은 바로 소수정예라고 생각한다”며 “학문 영역을 탈피한 융합학문을 진행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에 이 점을 잘 이용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산업경영공학과 교수이자 평가관리위원회 서의호 위원장은 “더 타임스 평가는 대학평가 중 가장 권위 있는 평가로 대학계나 학계에서도 평가의 신뢰도가 높다”며 “그렇기 때문에 이번 결과는 포스텍으로서 아주 고무적이며, 앞으로 명실상부한 세계 정상급 대학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고 했다.이에 대해 김용민 총장은 “개교 이래 포스코와 전 국민의 전폭적인 지원과 성원 아래 교육과 연구의 수월성 실현을 위한 내부구성원과 외부관계자들의 열정과 노력이 인정받은 결과라 생각된다”며 “앞으로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의 대학이 될 수 있도록, 세계 과학기술계를 선도해 나갈 수 있는 인재를 많이 배출하는데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김남희기자 ysknh0808@kbmaeil.com

2012-06-04

여수 금오산 향일암과 오동도를 가다 (17)

“여수 밤바다/ 이 조명에 담긴 아름다운 얘기가 있어/내게 들려 주고파 전화를 걸어/뭐하고 있냐고/나는 지금 여수 밤바다/여수 밤바다….”요사이 라디오에서 많이 나오는 노래중에 하나인 여수를 주제로 한 노래이다. 지금 여수는 2012년 해양엑스포가 열리고 있어 도시가 시끌벅적 하다. 전국의 많은 관광객이 북새통을 이루는 요즘과 너무도 잘 맞아 떨어지는 노래다 싶다. 얼마전 가 보았던 곳이라 느낌이 더 친근한 것일까. 노래 가사처럼 여수 밤바다는 정말 아름다운 곳이다. 이 곳 포항과는 분명 다른 무언가가 있다. 거친 동해의 바다에 비해 호수같은 잔잔한 바다. 노을 질 때의 바다는 아직도 잊혀지지 않는다.돌산 끝자락의 금오산 향일암과 동백꽃의 오동도가 눈에 선하다. 지난 여행의 기억을 더듬어 본다.여행의 목적지는 금오산의 향일암과 오동도였다.시원한 남해고속도를 타고 가다 광양에서 순천을 지나 여수시에 들어와 돌산대교를 건너 바로 대교밑에 즐비한 횟집에 우선 들렀다. 1984년에 완공되어 돌산과 여수를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돌산대교는 교각에 비해 굉장히 높게 지어진 다리이다. 다리 아래로 조류가 빠르고, 여수항과 석유화학 공단을 출입하는 대형선박들을 위해 수면에서부터 20m의 높이로 설계되었다고 한다. 점심으로 작은 회 한접시를 시켜놓고 바다건너 여수항을 바라본다. 약간은 작지만 이국적이었다. 주말이라 그런지 역시 사람들이 많았다. 몇장의 스케치를 하면서 회 한접시를 뚝딱 해치우고 다시 금오산으로 향했다. 여수는 갓김치가 유명한 곳이라 알고는 있었지만 이곳 금오산이 본 고향인듯 갓김치 파는 곳이 즐비하였다. 저녁에 먹을 요량으로 소(小)자 하나 구입하여 돌산 끝까지 왔다고 여겨지는 순간, 이곳이 금오산이란다. 바닷가 바로 옆에 있는 예쁜 펜션 하나를 먼저 잡았다. 오늘은 여기서 1박을 할 작정이므로 좀 늦으면 방이 없을것이 뻔하다 싶어 방부터 구했다.이곳 금오산에는 유명한 사찰이 하나 있다. 향일암이 그 곳이다. 향일암, `해를 바라본다'고 해서 붙여진 사찰이라고 한다는데, 사람들은 `해를 머금고 있는 사찰'이라고 한다고 한다.`해를 머금고 있는 사찰' 향일암 291개 계단의 고통 뒤 큰 선물 몇해전 일출 행사때 화재로 인해 사찰 곳곳이 유실됐다고 크게 언론에 대서 특필된 곳이기도 하다.향일암을 올라가는 길은 가파르다. 길가 양쪽으로는 돌산 갓김치를 판매하고 있는 식당들로 가득 들어차 있다. 언덕길을 따라 조금만 올라가면 향일암 매표소가 있다.매표소에서 표를 끊은 후 향일암 암자까지 가는 거리는 짧지만 계단이 장난이 아니다. 평길이라 해서 결코 쉬운 길은 아니다. 경사도가 꽤높다.금오산 향일암이라 적힌 일주문, 향일암을 지키는 대문역할을 함과 동시에 동쪽을 쳐다보고 있다. 턱밑까지 차오르는 숨을 몰아쉬며 열심히 가파른 계단을 올랐다. 계단은 정확히 291개라고 하는데 숨이 차서 세어볼 수가 없다.한참 올라가다 이 길을 지나 몇개의 계단만 더 오르면 그 유명한 바위틈 길이 보인다. 한사람이 겨우 통과할 정도의 돌틈 사이로 작은 공간이 보이는데 바로 바위굴인 반야굴과 해탈문이다. 그 공간이 어찌나 좁은지 요새 배가 더 나온 탓인지 정말 지나가기가 불편할 정도지만 재미있는 길이다. 가파른 계단을 몇단 올라가다보면 시야가 확 밝아지며 바다가 나타나는데, 그곳에 서서 밑으로 내려다보면 유명한 거북이 머리 같이 보이는 섬의 형상이 보인다. 그리고 저멀리 오밀조밀 작은 섬들이 여수의 정취를 그대로 보여준다.향일암은 남해바다를 바라보고 있다는 점에서도 멋진 사찰이지만 사실 더 유명한 건 향일암의 일출이라고 하는데, 매년 새해 첫날이면 해맞이 행사가 열린다고 한다. 이 때는 향일암을 방문한 차량이 꼬리에 꼬리를 물어 죽포까지 이어지기도 한다고 하니 엄두도 못내겠다. 아무튼 향일암은 신라 선덕 여왕때 원효대사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전해지고 있으며 창건 당시에는 원통암이라 불려지기도 했고, 현재의 향일암이라는 이름은 조선 숙종 41년 인묵대사에 의해 전해진 이름이라 한다.남해바다를 바라보며 큰소리로 한번 기도하고 다시 내려오니 날이 어둑해 졌다. 숙소 뒷마당에 바다가 보이는 테라스가 있어 그곳에서 라면 몇 개를 끓여 갓김치랑 먹으며 밤바다를 바라보니 이것이 바로 그 노래가사에 나오는 `여수 밤바다'다 싶었다.오동도 제방둑길 걷는 재미 솔솔 색다른 밤바다 정취도 가슴 설레 다음날 아침, 어제 먹은 숙취가 아직 깨지 않아, 얼얼 한 채로 여수로 다시 나와 오동도로 향했다.한참 여수해양엑스포 준비가 막바지였던 탓에 주변이 어수선했지만 금방 도착한 느낌이었다.요즘은 오동도까지 도로가 생겨 자동차로 갈 수는 있지만 옛날에는 이 곳이 섬이었다고 한다. 일반차는 들어갈수가 없고 매번 여러대 달린 왕복 버스가 있지만 바다를 바라보며 제방 둑길을 걸어 들어가는 재미가 솔솔하다.걸어서 섬에 도착하면 두 갈래 길이 보이는데 화장실 옆 길을 선택하여 올라가 보았다. 산책로를 따라 걷다보니 몇 년전 싱가포르 쥬롱새 공원이 생각났다. 명물로 세계적인 명소로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동백나무꽃이 울창한 사이로 이름모를 새소리가 간간히 들리고 몇몇 대나무랑, 동백나무들로 만들어내는 이벤트 터널속을 걷다보니 그냥 섬을 한바퀴 돌게 되며 어느새 다시 주차장에 도착하였다. 오동도에서 바라보는 엑스포의 상징건물이 웅장함으로 다가온다. 야경이 잘 어울릴것 같은 느낌이 들어 1박을 더하고 싶었지만 시간이 허락하질 않았다. 지금 생각 해보면 오늘도 오동도에서는 `여수 밤바다' 노래를 들으며 많은 연인들이 사랑 고백을 하고 있을 것 같다. 사랑이 식어가는 연인들에게 여수의 밤바다를 추천해주고 싶다.

2012-06-04

문화진흥·컨텐츠 개발에 지난해 395억 쏟아부어

정부의 국정운영 기조인 `공정한 사회`는 문화에서도 예외일 수 없다. 경제적으로 부유하더라도 문화적 소양이 뒷받침되지 못 하면 진정 풍요로운 삶이라 할 수 없다. 또 그런 나라를 선진국이라 할 수도 없다. `모든 국민이 어려서부터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는 나라, 생활 형편과 상관 없이 누구나 문화를 누리는 나라`를 만드는 것은 그래서 중요하다. 글 싣는 순서① 경상북도의 문화복지 현주소② 경북도내 문화사각지대 현장③ 경북도민 대상 문화회관 등 문화시설 이용 설문④ 경북도청 문화바우처 허와 실⑤ 경북도청 문화정책 진단⑥ 프랑스 문화부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정책 들여다보기⑦ 독일 등 유럽의 문화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정책⑧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정책 수립 제언■ 문화예술 행사 접근기회 현황우리 국민은 평균적으로 일년에 4.8회 예술행사를 관람한다고 한다.조사에 따르면 연령과 학력에 따라, 그리고 소득수준과 거주 지역에 따라 문화향유율의 격차는 벌어진다. 월평균 가구소득 400만 원 이상이 연간 7.64회 예술행사를 관람하는 데 비해,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의 경우 그 숫자는 0.55회로 급감한다. 대도시 거주자의 연평균 관람횟수가 5.12회라면 군지역 거주자는 2.63회로 거의 2배의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문화 격차는 단순히 개인적 취향의 차이로 해석될 수 없는 외부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관심 부족이나 취향 등 심리적 요인 외에도 경제적·시간적 한계, 신체적 장애나 지리적 접근성 등의 외적 요인도 상당하다. 무엇보다 경제·사회·신체·지리적 장애로 인한 문화예술 경험 부족에 의해 관람의향 자체가 형성되지 못하고, 적절한 교육을 통한 감수성이 계발되지 못해 문화예술에 대한 수요가 덜 발달되는 것이다.그렇기에 정부의 문화예술정책에는 취약계층의 문화예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향유 기회의 확장과 문화 감수성 형성, 생활문화와 아마추어 창작을 포괄하는 문화개념의 확장이 전제돼야 한다. 정부의 문화예술 정책은 특정계층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그 기회와 수혜가 사회 전반에 공평하고 또 공정하게 가닿아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문화는 지역을 토대로 창조되고 소비된다. 따라서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과 자생력이 갖춰질때 지역간의 문화소통이 창의적인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지역사회 관점에서 문화는 지역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지역주민들은 함께 나누는 문화를 통해서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공동체 의식은 바로 지방자치의 토대가 된다. 문화적 삶의 질도 이러한 지역문화가 활발하게 발전할 때 증진될 수 있는 것이다.■ 취약계층에 접근성 높이기 예산은 부족경북도청은 지난해 문화예술 진흥과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도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395억5천만원을 투자했다. 도는 문화기반시설 확충과 예술인 창작활동 지원, 소외계층의 문화향유 기회 제공, 전통문화를 특화한 신성장 문화산업 육성 등에 전년보다 30.6% 늘어난 예산을 들여 다양한 시책을 추진 실시했다.내실있는 문화예술 진흥을 목표로 도는 경주예술의전당 23억원, 안동문화예술의전당 35억4천만원, 영천시립도서관 건립 15억원 등 자금을 투입해 다목적 기능의 문화시설을 건립했다. 공공도서관과 문화원 시설 지원, 김천시립미술관 등 지역 문화기반시설 인프라 구축에도 총 243억원을 투자했다. 도는 오지마을과 농어촌지역 등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문화활동` 프로그램에 3억2천만원, 문화바우처 및 경북사랑티켓제도 운영 등에 29억9천500만원을 지원하고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 등에 2억4천만원을 투입했다. 경북도청이 이처럼 다양한 시책을 추진 실시했지만 취약계층의 문화 예술 접근성을 높이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행하는 2011년도 문화기반시설 총람 기준으로 보면 문화시설 수는 경기 360개, 경북 167개, 강원 15개, 경남 147개, 전남 142개, 충남 129개, 전북 109개, 충북 101개, 제주 90개로 규모가 비슷한 타도에 비해 경북이 많은 숫자를 보유하고 있다.하지만 문화시설 현황을 파악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인 `인구 1백만명당 시설 수`에서는 제주 157개, 강원 101개, 전남 74개, 충북 65개, 충남 62개, 전북 61개, 경북 59개, 경남 44개, 경기 33개로 9도 중 7위로 문화기반 시설 수에서 타도에 비해 열악한 것이 현실이다. 또 문화기반시설 총람에 의하면 주민 1인당 문화기반시설 이용 횟수를 보면 경기 7.3회, 강원 10.8회, 충북 6.5회, 전북 7.7회, 전남 8.8회, 경북 7.1회, 경남 7.0회, 제주 36.5회로 나타났다. 물론 이 숫자는 관광객을 포함하는 숫자로 주민 이용률을 파악하는 통계로는 적당하지 않지만 경북은 여기에서도 9개 도중 7위에 머무르고 있다.■ 문화정책 주된 기조 정립 필요한편 지난 2010년 8월23일 이명박 대통령은 `누구나 문화를 누리는 나라, 문화 대한민국을 만들겠습니다`라는 제목의 라디오인터넷 연설에서 `모든 국민이 어려서부터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는 나라, 생활 형편과 상관 없이 누구나 문화를 누리는 나라`라는 문화국가 대한민국의 비전을 발표했다.“우리 정부의 문화정책은 문화기회 격차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라고 말한 이 대통령은 `공정한 사회`라는 국정 이념을 문화복지 분야에서도 실천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더 많은 이에게 문화예술의 경험을 나누고, 이를 통해 사회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가치를 만드는 일, 국민의 `문화행복`을 위해 누구에게나 문화를 누릴 수 있는 기회를 고르게 보장하는 것이 문화정책의 주된 기조인 것이다.이를 위해 경북도청은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정책을 펼치고 있다. 소외계층의 문화시설 이용 편의 제공을 위해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도서출판사업, 음성정보서비스 지원사업, 사립문화시설의 장애인편의시설 지원,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장애누리터사업, 다문화가정 자녀의 독서지도를 위한 다문화프로그램 지원사업, 생활밀착형 작은도서관 조성지원 사업 등이다.하지만 이는 소외계층의 문화적 기본권을 보장하는 문화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기에는 많이 부족하다. 문화 소외계층이 경제적 취약계층이라고 가정할 때 경제적 취약계층이 느끼는 사회·물리·심리적 격차를 함께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한 문화복지 정책 전문가는 “소외 계층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기 위해 문화기반 시설의 설립 계획 단계에서부터 자문위원, 용역 보고회 등에 이들을 일정 부분 반드시 참석하게 하는 방안과 공립 문화기반 시설 내에서 이뤄지는 각종 문화예술 행사시 소외 계층을 위한 좌석을 일정 부분 확보하게 해 제공하게 하는 제도 등도 도입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며 “이는 소외계층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감수성 함양 못지 않은 문화예술을 통한 자존감 고취의 중요한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그는 또 “대규모의 시설도 필요하겠지만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는 소규모의 생활밀착형 문화시설을 더 많이 확충해 소외계층들에게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생활밀착형 작은 도서관이나 야외 소공연장, 특히 소규모 미술관과 같은 문화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자연스럽게 문화가 녹아들 수 있는 기반시설 정책추진에도 신경을 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경상북도 문화정책의 허와 실`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 취재 지원을 받았습니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12-06-01

“애국·애족 언행일치 중요”

▲ 이종남 회장(사)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우리 역사 속에서 임진란은 엄청난 고통과 참담함을 남겨 60년마다 임금은 직접 제관과 제물을 보내 전투에서 목숨을 잃었던 장수와 군사들을 위로 하는 등 임진란의 교훈을 잊지 않도록 했습니다”올해 `임진란 7주갑 기념 문화학술 대제전`선봉장 역할을 맡고 있는 (사)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이종남 회장은 420년 전 임진년의 국난은 결코 잊을 수 없는 역사적 교훈이라고 강조했다.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후손인 이 회장은 서애 류성룡 선생과 충무공의 관계 때문인지 지난 2007년 `서애선생 서세 400주년 기념 위원장`을 맡은 이후 안동과 유달리 인연이 이어지고 있다.이 회장은 “우리나라는 경제적 발전으로 세계 13위권에 있지만 엄연히 세계 유일의 분단국의 대치국면”이라며 “이제는 입으로만 애국·애족을 부르짖고 행동은 달리하는 언행 불일치되는 일은 삼가해야 나라가 발전한다”고 했다.올해 (사)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가 추진하고 있는 기념사업이 무엇보다 작금의 시대적 상황에 중요한 자극제나 길잡이가 되고 있다.특히 발족된 지 얼마되지 않은 선양회가 전국 임진란 공신과 의병장 후손 등 100여 후원회 단체가 모인 단체로 발전한 것은 임진란에 목숨을 바친 분들이 그만큼 많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이종남 회장은 “겨레를 위하는데 공인은 공인대로, 민간은 민간대로, 기업은 기업대로 국가와 사회에 봉사하는 길을 찾는데 길잡이가 됐으면 한다”며 “이번 기념사업을 통해 후대들이 길을 찾을 때 이 역사에서 찾기를 희망한다”고 했다.이어 “임란 7주갑을 맞아 우리 역사상 가장 가열했던 고통이 있었다“며 “거기에 대한 대응과 임진란의 뼈아픈 교훈, 그리고 고통과 오욕의 역사와 참상이 되풀이되지 말아야 하며 지금의 우리는 민심을 잃어버린 군주, 상하신료의 안이함, 나라의 기강이 무너지면 어떻게 되는가를 후대들에게 호국정신을 일깨워주는 계기로 삼아야한다”고 강조했다.안동/권광순기자gskwon@kbmaeil.com

2012-06-01

갈등의 동북아… “임진왜란 역사적 교훈 되새겨야”

올해는 임진왜란이 발발한지 420년되는 해다. 7주갑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동북아시대 역사적 갈등과 분쟁이 잇따르는 현실에서 임진란의 교훈과 공존의 미래에 대한 되새김이 필요하다. 2일 안동 탈춤공원 야외공연장에서 마련되는 기념식을 시작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경북도, 안동시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사)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가 주관하는 `임진란 7주갑기념 문화학술 대제전`을 미리 짚어 본다.1592년(선조 25) 4월. “적선이 바다를 덮고 몰려왔다. 부산첨사 정발은 마침 절영도에서 사냥을 하다가, 조공하러 오는 왜인들로 여기고 대비하지 않았는데 미처 진(鎭)으로 돌아오기도 전에 적은 이미 성으로 기어올랐다. 정발은 어지러이 싸우는 중에 전사했다. 이튿날 동래부(東萊府)가 함락되고 부사 송상현이 죽었으며 그의 첩도 죽었다. 적은 드디어 길을 나눠 진격해 김해, 밀양 등 부(府)를 함락했는데 경상병사 이각은 병력을 거느리고 먼저 달아났다. 태평한 세월이 200년 동안 이어져 백성들은 전쟁을 몰랐고 군현들은 풍문만 듣고도 놀라 무너졌다”임진왜란이 일어난 사실을 최초로 기록하고 있는 `선조실록` 내용으로 왜란 초전 양상을 간명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다.당시 일본 기록을 보면 부산까지 침략군을 수송했던 병선은 무려 700여척에 이르는 대선단이었다. 그럼에도 부산첨사 정발은 조선 침략군을 조공 선단으로 오인했다. 이런 상황에서 방어 태세를 제대로 갖추기는 어려웠고 부산진을 비롯해 서울로 이르는 길목의 주요 고을마다 줄줄이 무너졌다. 전쟁은 이렇게 일본군의 승승장구로 시작됐다. ■임진란 60년마다 왕이 공신들 기려임진란 7주갑의 행사는 국가 행사다. 예부터 조정은 60년마다 전쟁의 참혹함을 기억하고 나라를 위해 몸을 바쳐 활동한 공신들을 추모하는 행사를 열었다. 시호(諡號)를 내리고 봉사손(奉祀孫)이 끊어지지 않도록 했으며 사우(祠宇)나 치제(致祭)를 위한 지원도 아끼지 않았다.1772년 임진란 3주갑때는 영조 임금이 직접 문렬공 조헌, 충무공 이순신, 충렬공 송상현, 충렬공 고경명 등 순절한 장군들에게 치제하고 그 후손을 녹용하도록 명했다.또, 1832년 임진란 4주갑에 이르러서는 순조 임금이 순절하신 4분의 순절지에 도백을 보내 단을 설치하고 함께 목숨바친 이들에 제를 올리고, 문충공 이항복, 문정공 윤두수, 충익공 정곤수, 문충공 류성룡, 충장공 권율의 가묘에는 승지를 보내 사제하도록 했다.1952년 6주갑을 맞은 이승만 대통령 시절, 한국전쟁 중에도 대통령은 신현돈 경북도지사를 하회마을로 보내 서애선생의 가묘에 치제했으며 당시 백낙준 문교부장관은 하회마을내 풍남초등학교에서 강연하기도 했다.같은 시기 이 대통령은 서울 충무로 광장에서 `임진란 6주갑 기념 국난극복 시민대회`를 열어 임진란을 기억하고 공신들을 추모했다.마찬가지로 7주갑을 맞은 2일 하회마을 류성룡선생 가묘에는 최광식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김관용 경북도지사, 이종남 (사)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장 등이 헌관으로 참석해 치제한다.선양회는 올 한 해 동안 임진란 아홉 공신들에 대한 사제사와 단제사를 지역마다 도지사가 헌관으로 참여해 봉행하도록 할 예정이다.(사)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류한성 수석 부회장은 “그동안 임진란의 역사적 의미와 교훈에 대한 체계적 연구나 기념사업이 부족했다”며 “올 한 해 동안 이 기념사업을 통해 통합과 재생, 국민 자신감과 자존감 회복 등 국란을 슬기롭게 대처하고 극복할 수 있었던 선조들의 정신을 재조명하는 기회로 삼을 것”이라고 했다.○주갑(周甲)이란 육십갑자를 돌아 다시 태어난 해로 돌아왔다는 의미로 60년을 뜻한다. 올해가 임진왜란 발발 420년이 된 해로 7주갑년이 되는 것이다.안동/권광순기자

2012-06-01

`일방통행식 바우처 정책 그칠까' 우려 목소리

▲ 경북도청 문화바우처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재의 문화카드 읍면동 사무소 전달체계를 사회복지사와 마찬가지로 읍면동 사무소에서 (가칭)문화복지사와 같은 문화 복지 전담 인력을 새로이 도입하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사진은 경북도 문화바우처 행사 모습.문화바우처는 기초생활수급자와 법정차상위계층(자활·장애인·의료급여·한부모 가정) 등을 대상으로 연간 5만원 상당의 문화예술 상품을 구매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문화카드'를 지급하는 제도를 말한다. 정부가 2005년 5억원 예산으로 시작했다. 경북도청은 지난해 부터 문화바우처를 실시하고 있다. 정부가 문화바우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국 16개 시·도로 업무를 분담했기 때문이다. 정부의 문화바우처는 지난해 347억원으로 증액되는 등 대표적인 문화복지 정책으로 자리잡고 있다.특히 저소득층에 대한 우리 정부의 정책이 만년 `경제적 지원'에만 한정돼 있을 것이라 생각했던 예상을 빗나가게 한 `괜찮다'고 불릴 만한 정책으로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고 있다.그러나 올해들어 많은 쟁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각 주관처를 두고 실시토록 하고 있는 기획바우처 사업의 실효성에 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경상북도 문화정책의 허와실① 경상북도의 문화복지 현주소② 경북도내 문화사각지대 현장③ 경북도민 대상 문화회관 등 문화시설 이용 설문④ 경북도청 문화바우처 허와 실⑤ 경북도청 문화정책 진단⑥ 프랑스 문화부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정책 들여다보기⑦ 독일 등 유럽의 문화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정책⑧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정책 수립 제언후불제 정액권 형식 `문화 카드' 시스템 오류·늑장대응 ... 사용 못한 카드잔여금 문제점도특정서비스 한정 `기획바우처' 한계 프로그램 `직접 참여' 기회 늘려야먼저 문화카드는 지원의 방식 면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300만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을 위해 정부에서는 카드 사업자를 공모해 신한카드를 대행업체로 선정하고 있다. 하지만 문화카드는 신용카드가 아닌 후불제 정액권 카드 형식이기 때문에 카드사의 입장에서는 일반 신용카드와 같은 이익을 누리기 어려운 구조다. 이 경우 카드사에서 얻는 이익은 발급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할 때 얻는 카드수수료 정도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불친절한 콜센터 운영과 잦은 시스템 오류 및 늦은 대응 등으로 인해 서비스 이용자들의 불만과 민원이 반복적으로 제기되는 현상이 지속되는 실정이다. 경북도의 문화바우처 주관처인 금수문화예술마을운영협의회 관계자는 “특히 신한카드사는 문화 카드 승인 뿐 아니라 문화 카드 가맹점 관리도 맡고 있는데 경북에 신한카드 업무를 보는 곳이 적어 가맹점의 등록 및 민원을 해소하기 어려운 점도 문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카드제의 또다른 문제점은 예산의 효율적 활용 여부다. 카드제의 경우 일단 발급된 카드에 대해서는 5만원 상당의 금액이 할당된다. 하지만 문제는 개인별 한도액인 5만원이 전부 사용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점이다. 카드 잔여 금액으로 인해 예산의 상당액이 불용될 가능성이 높다.또 문화 카드는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계층에 지급한다는 원칙 아래 시행되고 있지만 그 대상에는 한계가 있다. 저소득계층의 수는 많은데 정부가 지원해 주는 예산인 국비와 각 시도와 지자체가 부담하는 시도비, 시군 모두를 합쳐도 저소득계층에 골고루 혜택이 돌아가기에는 부족한 예산이다. 경북도의 경우 지난해 9월 현재 바우처 대상자가 6만8천780가구 11만5천546명인데 반해 카드 수혜자는 5만3천840명으로 46.6%만 카드를 지급 받을 수 있었다.문화 바우처 정책은 지난해부터 읍면동 사무소 전달체계를 구축했다. 문제는 문화 복지 전담 인력이 형성돼 있지 못한 점이다. 문화 복지 정책인 만큼 제대로 된 문화 복지 분야 전달 체계를 갖춰야 한다. 현재 경북도는 사업 주관단체로 금수문화예술마을운영협의회를 선정해 맡겨두고 있지만 이들의 역할은 기획 사업에 한정되고 있을 뿐 아니라 앞으로 예산의 확대와 서비스 내용의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문화 복지 분야의 전달 체계는 사회복지사와 마찬가지로 읍면동 사무소에서 (가칭)문화복지사와 같은 문화 복지 전담 인력을 새로이 도입하는 방안에 대한 진지한 고려가 필요하다. 기획바우처 사업은 카드 방식만으로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문화예술 관람이 어려운 계층을 위해 마련된 사업이다. 하지만 공연장이나 전시장 등으로 초청해 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른바 `모셔오는 서비스'와 전·현직 예술인, 전공 학생, 문화예술동호회원 등 재능 기부 예술인을 활용한 `찾아가는 서비스' 방식이 운영되고 있지만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한 문화복지 정책 전문가는 “바우처는 그 내재적 특성상 개인의 소비를 특정한 물품(서비스)에 한정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문화의 민주화 관점에서 보면 개인은 수동적 주체일 뿐이며 이들을 위해 좀 더 나은 무엇인가를 선별해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그는 “하지만 문화민주주의 관점에서 보면 문화예술 교육이나 아마추어 예술 활동 등을 매개로 해 수혜자 스스로 주체화해 문화예술의 창조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그나마 경북도 문화바우처 주관처인 금수문화예술마을운영협의회는 올해 수혜자들이 문화예술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사진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지만 정부가 이 사업을 처음 시작할때 내놓은 거창한 문화권 실현이라는 지향점과는 달리, 정작 구체 정책 측면에서는 마땅히 내세울 만한 내용이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영덕군에 사는 문화바우처 회원 김모씨는 “아이들과 공연을 관람한 후 뮤지컬에 관련된 책을 읽고, 상황극을 만들어 연기자처럼 책을 읽기도 하고, 엄마 아빠가 책 속의 상대역도 하며 오랜만에 즐겁고 환한 웃음꽃을 피웠다”면서 “세상 살면서 돈이 전부가 아니구나, 이런 세상도 있구나”를 깨달았다고 했다.“저처럼 문화바우처가 저소득가정과 문화소외계층에 희망의 사다리가 되고 있는 좋은 사례도 있다.”, “즐거움과 기쁨을 알게 했다”는 반응이 이어지며 일상의 행복과 삶의 여유를 찾아주고 있는 것이다.서민들이 복권을 구매하는 것은 한 끼 밥을 해결하거나 실업자가 작은 봉급이라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는 직장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들이 평소에 다가설 수 없는 도시 중심에 사는 사람들 중산층 혹은 상류층처럼 살고 싶다는 욕망 때문이다.“왜 가난한 사람들에게 문화체험의 기회를 주어야 할까? 쇼리스는 우연한 기회에 교도소를 방문해 한 여죄수에게 “왜 가난한 사람들이 존재할까요?”라는 질문을 던졌다. 비니스 워커라는 여인이 “시내 중심가 사람들이 누리고 있는 정신적 삶이 우리에겐 없기 때문이죠”라는 대답을 듣고 깊은 충격을 받았다. 가난한 사람들은 중산층들이 흔히 접할 수 있는 연주회와 공연 전시회, 강연과 같은 `인문학'을 접하는 것 자체가 원천적으로 힘들고, 그렇기 때문에 깊이 있게 사고하는 법, 현명하게 판단하는 법을 몰라 가난한 생활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배고픈 사람에게 단순히 점심 한 끼를 대접하는 것은 빈곤을 연장시켜줄 뿐이다. 영국 문화부 장관을 지낸 테사 조엘은 “빵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들이 빈곤에서 탈출하려는 열망을 갖게 하는 것이다. 문화예술에의 참여는 이 열망의 빈곤을 경감시켜줄 것이기 때문에 중요한 것”이라고 했다.저 같은 사례가 문화분야의 복권이랄 수 있는 문화 바우처가 보다 많은 저소득계층에게 골고루 나누어져야 하는 충분한 이유가 될 수 있다.※`경상북도 문화정책의 허와 실'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 취재 지원을 받았습니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12-05-25

“처음 보는 프로야구 정말 재밌어요”

“엄마 아빠 곁을 떠나 선생님들과 도시 체험을 하게 되어 너무나 즐거운 시간이었어요” 청송 파천초등학교(교장 김종상) 전교생 67명은 최근 2박3일간의 일정으로 서울, 인천 등 도심지 체험학습을 했다.서울 휘경초등학교(교장 김성수) 초청으로 이뤄진 이번 체험은 도시와 농촌간 학습방법과 문화의 차이를 체험하는 기회였다.지난 16일 오전 7시 이른 아침, 학생들은 잠도 들깬 채 부모들의 품에서 뛰쳐나와 통학버스에 몸을 싣고 학교에 모였다.설레임 반, 걱정반 속에 출발한 아이들의 체험학습은 학교 정문을 나서면서 시작됐다.놀이공원·야구장·청와대·경복궁서 체험학습하고서울 휘경초교서 공부하고 새로운 친구도 만들고돌아오는 길엔 통일전망대·박물관서 산 역사교육오전 11시 용인 에버랜드에 도착한 아이들은 출입문에서부터 두리번거리며 어쩔 줄을 몰라 했다. 외국에 온것 같은 기분들이어서 빨리 입장하고 싶은 마음이었다.저학년들은 선생님들의 인솔 아래 놀이기구를 즐겼고 고학년들은 집합 장소와 시간을 알려주자 쏜살같이 놀이기구로 향했다.▲ 김종상 파천초등학교장.이날은 전국에서 모여든 소풍, 수학여행 학생들로 인산인해를 이루었지만 시골초등생들은 지친 줄도 모른 채 놀이기구 앞에서 길게 줄을 서 순서를 기다렸다.기념촬영하는 아이들과 엄마 아빠 선물도 사는 아이들의 대견한 모습들도 보였다. 에버랜드에서 점심식사를 마친 후 아이들은 전세버스에 몸을 싣고 인천 문학야구장으로 이동했다.놀이기구를 너무 즐겨 피곤한 탓인지 점심을 먹은 탓인지 출발한지 얼마되지도 않아 곤한 잠에 빠져들었다.오후 4시께 인천문학야구장 도착했다. SK와이번스(구단주 민경삼) 야구단 소속 직원들이 마중을 나와 아이들을 반겼다.아이들은 TV에서만 보는 야구장 직접 보고 “우∼와”라는 탄성을 질렀다. 경기관람 전 와이번스 구단에서 운영하는 SQ체험 프로그램에 참가했다.SQ는 Sports Quotient(스포츠 지수)의 약자로 육체적·정신적 건강의 척도로 패기, 활력, 배려, 사회성 등 스포츠와 관련된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스포츠 지수다. 아이들은 코치들의 지도아래 스텝검사, 약력검사, 윗몸앞으로 굽히기, 제자리멀리뛰기, 체성분검사를 받았다. 또 소형 새싹 야구장에서 야구 글러브를 끼고 공을 주고 받기와 베이스볼 클리닉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가했다.오후 6시30분 이날은 LG 트윈스와의 프로야구 경기가 있는 날이었다. 관람에 앞서 이만수 감독이 직접 나와 아이들과 기념촬영을 해줬다.바쁜 시간에서도 아이들을 기쁘게 맞아준 이 감독은 “재밌게 야구 구경 잘하고 응원 열심히 해라”고 한마디 건넸다.관람석으로 올라간 아이들은 난생 처음 야구 경기를 직접 지켜보며 마냥 신이 났다. 시간이 갈수록 기온차가 심해 다소 쌀쌀한 기운이 감돌았지만 아이들은 아랑곳하지 않은채 박수를 치고 노래도 따라 부르면서 열심히 응원전을 펼쳤다.인천 월미도 한적한 곳에 자리잡은 숙소에 도착한 아이들은 처음으로 집을 떠난 두려움과 하루종일의 일정이 피곤해서 인지 이내 깊은 잠에 빠졌다. 다음날 아침식사를 마치고 공동체험학습과정으로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휘경초등학교로 향했다.휘경초등학교는 1959년 10월 개교해 지금까지 2만6천900여명의 인재를 배출하고 31학급(특수반 2개반)으로 학생 수는 총 656명이다.김성수 휘경초 교장은 “농촌지역 어린이 답지 않게 발랄하고 너무나 씩씩해 보이고 장거리 여행인데도 피곤한 기색은 찾아볼 수 없이 밝았다”며 “도시에서의 문화체험을 마음껏 누리고 휘경초에서 새로운 학습도 배우고 익혀 훌륭한 청송의 일꾼으로 자라 줄 것”을 당부했다.아이들은 2명씩 조를 나눠 휘경초에서 공동학습을 하고 이곳 학교 친구들과 친구 맺기도 했다. 처음엔 어색했지만 얼마지나지 않아 마치 예전에 알았던 친구처럼 친해졌다. 급식소에서 친구들과 함께 점심을 먹은 후 아이들은 기념촬영을 마치고 전세버스에 올랐다. 휘경초 학생들은 잠시지만 정이 들었는지 손을 흔들며 작별의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전세버스가 교문을 빠져나갈 때까지 목을 내어 학교를 바라보며 “얘들아 잘있어. 다음에 꼭 만나자”고 외치며 손을 흔들었다.이는 다른 학교의 학습 환경과 생활 모습을 이해하고 단체 생활을 통해 협동하고 양보하는 공동체 의식을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아이들을 실은 전세버스는 청와대로 향했다. 만남의 광장 주차장에서 인원점검을 하자 아이들은 긴장했는지 오랫동안 침묵을 지켰다. 양복을 입은 경호원 아저씨들의 매서운 눈빛에 주눅이 들었듯 보였다.전세버스에서 내린 아이들은 경호원 아저씨들의 인솔하에 청와대에 들어갔다. 이곳에서 대통령이 하는 일, 주요시설물 안내를 동영상으로 먼저 시청한 후 외빈 접견을 하는 상춘재, 기자회견장으로 사용되는 춘추관, 대규모회의와 외국국빈들을 위한 공식행사장인 영빈관 등을 구경했다. 혹시나 대통령이 보일까 목이 빠져라 지켜보는 아이, 경호 차량에 눈을 떼지 못하는 아이들도 있었다.청와대를 나와 경복궁 일대를 둘러보고 전세버스는 강화도로 향했다.체험학습 마지막날인 18일 아이들은 우리나라 평화통일을 기원하는 곳인 강화평화전망대를 찾았다.이곳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북한주민의 생활상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곳이다.남북한의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히고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해 평화적 통일의 기반을 다져 나가는 문화관광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건설됐다. 이날 전망대에서는 망원경으로 북한의 실상을 보려 했지만 안개가 자욱해 자세히는 보질 못하고 해설사의 설명에 만족했다.아이들은 인근 해병대 상륙돌격장갑차 앞에서 기념촬영도 가졌다. 이어 강화역사 박물관으로 이동했다.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사적 제137호인 강화 고인돌 공원내에 위치한 이곳 박물관은 천년 역사와 문화를 자랑하는 강화 문화유산을 보존 활용하기 위한 전시교육장으로 활용하고 있다.이곳 박물관에는 구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에 이르기까지 강화의 역사를 한눈에 알 수 있는 다향한 유물이 전시돼 있다.또 강화의 열린 바닷길 이야기, 갯벌과 저어새의 땅, 고인돌과 초지진 소나무 이야기 등의 영상물도 시청했다. 선사시대의 고인돌, 마니산 참성단, 전등사, 팔만대장경, 삼별초, 조선시대 외규장각, 초지진, 광성보, 강화도조약 등 수많은 이야기꺼리를 간직한 자연체험장이지만 청송에서는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어 평소 체험하기 어려웠다. 모든 체험일정을 마치고 이날 오후 6시30분 학교로 돌아왔다. 아이들은 마중 나온 부모들의 근심어린 걱정을 뒤로하고 보고 듣고 느낀 점, 그대로를 얘기하느라 마냥 신이 났다. 이번 도심지 문화체험은 2박3일간의 짧은 일정이었지만 도시를 알고 넓은 세상에 대한 견문을 넓히고, 우정과 사랑, 인성을 길러는 값진 선물이었다.파천초의 도심지 문화체험학습은 지난해 제주도에 이어 두 번째로 학생과 학부모들로부터 호응을 얻으며 학교의 대표 행사로 자리를 잡고 있다.청송/김종철 기자kjc2476@kbmaeil.com

2012-05-25

천년고도 경주 관광객 유치 1천500만시대 연다

신라 천년 고도 경주가 관광객 유치 1천500만명 시대를 맞는다. 지난해 국내 지방자치단체 중 드물게 관광객 1천만명 시대에 진입한 경주시가 올해부터 관광객 500만명을 증가시키겠다는 야심 찬 비전을 내놓았다. 경주시는 최양식 시장 주도하에 국제적 관광 도시와 어깨를 겨누기 위한 각종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신라 천년 고도의 역사도시, 관광문화도시인 경주 시정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최양식 시장과 함께 관광 경주의 비전을 진단하고 국제 관광도시로서의 가능성을 짚어본다. -그동안 경주시의 관광정책 성과는.△지난해 경주를 방문한 국내외 관광객이 1천100만 명을 돌파했다. 올해는 1천500만명이 경주를 찾아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그동안 경주는 신라 문화유산의 보고여서 한국을 찾는 외국관광객들에게는 필수 방문 코스였다.그래서 행정 입장에서는 관광객들의 패턴 변화에 많은 고민을 해 왔고, 이를 수용할 문화재와 연계한 볼거리를 다양하게 조성해 왔다. 특히 시는 KTX 개통에 따라 관광객들의 See Sighting을 우려하고, Stay Tour를 할 수 있도록 정책을 변화시키고 시스템도 가동하고 있다. 관광 소비자의 안목이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만큼 경주시도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는 관광정책 수립과 프로그램을 개발했기에 1천만 명 시대에 도달한 것이 아닌가 한다. -관광객 1천500만 명 시대를 다질 관광정책은.△경주지역의 기존 문화재 중 유네스코에 등록된 불국사와 석굴암, 대릉원과 첨성대를 포함하는 동부사적지, 그리고 조선시대 양반과 평민들의 생활상이 고스란히 녹아있는 양동마을이 대표적이다.하지만, 역사문화유적지는 변화되지 않은 고정물이다. 더욱이 지역이 신라 유적지로 인식돼 있어 외래관광객들이 역사성, 문화재적 가치성, 예술성 등 신라 천년 수도의 화려했던 문화만 체험하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시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더욱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동안 야심차게 준비하고 있는 복원사업으로는 황룡사 9층 목탑, 동학발상지 성역화 사업, 경주읍성 정비, 영지설화공원, 서라벌연희테마단지 조성, 성덕대왕신종 테마공원 조성 등을 차근차근히 준비하고 있다.또한, 제78차 국제 펜 대회 개최에 맞춰 신라의 `삼기팔괘`중 하나이며, 근대소설의 대가인 김동리의 작품 무녀도 배경인 `금장대` 중창이 완성단계에 있다. 교촌한옥마을과 최 부자 경영아카데미강좌개설, 반월성 주변 정비, 첨성대 주변 정비, 월정교 복원으로 관광객들이 새로운 볼거리를 만날 것이다. -올해 열릴 국제행사와 국내 행사는.△국제 행사로는 제5차 APEC 교육장관회의가 21일부터 열리고 있다. 특히 이 행사에는 21개국 장·차관이 참석하는 대규모 행사이다.오는 9월 개최되는 제78차 국제 펜 대회에 104개국 노벨상 수상자 등이 참가하며, 아시아-태평양 세계문화유산도시 대표자 포럼, 세계피리축제, 국제아트페어, 역사로맨스 축제 등이 잇따라 열린다.국내 행사로는 신라국학 1천330주년 기념행사, 경주읍성 축성 1천주년 기념행사, 제40회 신라문화제 등이다. 이외 공연행사로는 세계문화엑스포에서 `플라잉`과 `미소-2 신국의 땅 신라`가 공연되고 있다. 지난달 28부터 봉황대 뮤직스퀘어를 시작으로, 보문 야외국악공연, 한류드림페스티벌, 10월 개최예정인 `경주 떡과 술 축제` 등 다양한 볼거리와 관광객이 직접 참여하고 체험할 수 있는 문화행사가 준비되고 있다. -시내권 유적지에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시는 많은 예산을 들여 관광객에게 추억을 남기고, `다시 찾고 싶은 경주`를 제공하기 위해 동부사적지 일원에 황동으로 만든 화백 회의장 포토존설치, 동남산 가는 길 개설, 야간 시티투어, 전통한옥 체험장 설치, 달빛 및 별빛 기행, 신라의 달밤 165리 걷기 행사 등이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어린이와 노약자가 동부사적지를 도보로 탐방하는데 불편을 겪어왔으나 천마총에서 발견된 비단벌레 모형을 본뜬 비단벌레 열차가 7월께 새롭게 선보인다. 그래서 언론에서 `밤이 아름다운 경주`로 부르는 것이 아닌가.-경주가 문화관광도시에서 스포츠 도시로도 부각되고 있는데.△경주는 타 지자체에 비해 대규모 스포츠 행사가 개최될 수 있는 각종 인프라가 구축된 장점이 있다. 직접적인 스포츠 인프라는 물론 찾아오는 선수와 임원, 가족들이 전혀 불편함이 없는 숙박시설과 교통시설, 관광자원이 완벽하게 갖춰져 있다. 한마디로 대형 체육행사를 여는데 필요한 각종 인프라는 세계 최고 수준급이다. 경주에서 개최되는 대형 스포츠 행사로는 벚꽃 마라톤대회와 동아일보 경주국제마라톤대회, 코리아오픈 국제 태권도 대회, 국제 유소년 축구대회, 화랑대기 전국초등학교 축구대회, 전국 궁도대회 등 다양하다. 연중 개최되는 이들 대규모 체육행사에는 많은 임원과 선수, 가족이 경주를 찾고 있으며 이는 경주의 관광과 경제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경주는 스포츠 동계 훈련 적지로 손꼽히고 있다. 시는 스포츠문화사업 발전을 위해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시민과 관광종사자에게 당부사항은.관광객들이 경주시민 모두가 친절하다는 평가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시민과 관광업계 종사자가 경주 홍보 요원이 되어야 한다. 관광객 1천500만 명, 2천만 명 시대를 여는 것도 시민들의 손에 달려 있다. 물론 경주시 공무원들이 앞장서겠지만 시민 모두가 세계 최고의 관광, 문화, 역사도시의 주인이 되어 줄 것을 부탁한다. /윤종현기자 yjh0931@kbmaeil.com

2012-05-22

허정 (주)올리브컴 인터내셔널 대표

“`전시연출`이라는 단어가 아직은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분야죠. 쉽게 말하면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박물관에서부터 각종 기념관, 홍보관 등의 전시공간에 대한 기획부터 설계, 제작, 시공까지 전시연출 전반에 대한 업무를 대행하는 일이라고 보면 됩니다”국내에서 이 분야의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는 (주)올리브컴 인터내셔널(서울시 강남구 논현동)의 허정(45) 대표는 `전시연출`을 이같이 정의했다.포항출신인 그는 올 초 사우디아라비아 축제의 주빈국관 전시연출을 맡아 이명박 대통령과 사우디 국왕에게 브리핑을 하기도 했다.-사우디아라비아의 큰 축제에서 전시연출을 맡았는데.◆올 초 이명박 대통령이 경제외교의 일환으로 중동지역 국가들을 방문했다. 그때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양국 정상회담을 계기로 우리나라가 `자나드리아 축제`(매년 개최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유일한 문화행사로서 국왕이 직접 주관하는 엑스포형식의 축제)의 주빈국으로 초대됐다. 그 주빈국관에 대한 기획·설계 및 시공·운영을 총괄 대행하는 업무를 저희가 맡게 된 것이다.이 행사는 양국 정상이 만나는 장소로서의 의미와 함께, 우리나라를 비롯한 수교 50주년을 맞는 인도, 중국 중에 우리나라를 주빈국으로 채택함으로써 양국의 우방적 관계를 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국가적 홍보의 장이었다. 이러한 국가적인 행사를 맡으면 성공에 대한 부담과 사명감으로 먹고 자는 시간을 빼곤 거의 일에 몰두한다.짧고 긴박한 일정이었지만 많은 고민과 회의를 거쳐 한국 전통의 혼이 담긴 옹기를 이용해 그 안에 한국과 한국인의 저력을 담은 인터렉티브 영상을 담아 전시했다. 현지언론을 비롯 많은 이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그동안 고생한 보람을 한 번에 느끼게 하는 순간이었다.-양국정상 앞에서 직접 브리핑을 했다죠.◆양국 정상 앞에서 저희 회사의 작품을 설명하는 기회가 있었다. 준비도 철저히 했지만 이국 멀리서 두 나라 정상에게 우리회사를 설명하는 것 자체가 큰 영광이었다. 특별히 이명박 대통령은 고향이 포항인데다 영흥초등학교 대선배님이기도 해 감회가 특별했다.-`전시연출`을 쉽게 소개한다면◆전시공간에 대한 기획부터 설계, 제작, 시공까지 전시연출 전반에 대한 업무를 대행하는 일이다. 전시 콘텐츠 쪽으로는 전시관의 종류에 따라 사학, 인류학, 국문학, 고고학, 과학, 공학 등의 인문학과 기초과학, 응용과학 등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이를 콘텐츠화 할 수 있는 기획력이 필요하다. 공간 디자인을 위해서는 실내 건축에 대한 지식과 기술뿐 아니라 콘텐츠와 매체, 공간 디자인의 조합으로 만들어내는 창의적이고 심미적인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전시물의 제작 및 전시관 설치를 위해서는 건축, 조경, 전기, 통신, 소방 등의 기술을 기초로, 그래픽 디자인, 영상, 모형, 첨단 인터렉티브 매체 등 관람객에게 재미와 정보, 감동을 전해 줄 수 있는 연출 매체에 대한 기획과 제작 노하우가 필수적이다. 즉, 인문학적 지식과 공학적 경험에서 나오는 정보-디자인-기술의 복합적이고 통합적인 업무라 볼 수 있고, 전시회사라는 곳은 이와 같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인 전문가 집단이라고 말할 수 있다. -경북지역의 문화시설에 대한 구상이나 계획이 있는지?◆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작년부터는 포항지역의 `연오랑 세오녀` 테마단지 조성사업에 많은 관심과 자료수집에 집중하고 있다. 또 울릉도의 `명품 녹색섬 개발사업` 전반에도 특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요즘은 틈만 나면 울릉도를 방문하여 `지역경제 발전`과 `친환경 개발`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두고 큰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지역사람들을 만나서 나누는 살아가는 얘기들 속에서 그들의 기쁨과 애환을 통해 해법을 찾음으로써 `디자인은 관심에서 시작된다`라는 철학을 지키려 한다.-회사의 비전이 무엇인지.◆`자나드리아 주빈국관`으로 세계적인 디자인상인 레드닷(Red Dot Award)에 신청되어 있으며 그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레드닷 최종 수상이 결정되면, 명실공히 국제적으로 그 디자인 능력을 인정받는 셈인 것이다.이를 발판으로 하반기에는 중국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할 준비를 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해 온 프로젝트들을 모아 책으로 엮어 한국과 중국에서 동시에 출간할 계획을 갖고 있다.-개인적인 포부가 있다면.◆우리나라의 전시가 질적·양적으로 성장하였지만 아직 문화 선진국 수준에는 못미치는 것 같다. 제작·설치 능력과 연출 기술은 세계 최고의 수준인데 그 안에 담기는 소프트웨어는 선진 사례에 대한 답습이 대부분이다. 근시안적인 성과물에 집착하다 보니 생기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창의적인 마인드와 능력을 키우고 지속적인 새로운 시도를 통해 우리나라의 전시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견인차 역할을 하고 싶다. 또한 눈 앞의 이익보다는 창의력과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 최고의 전시 전문가 집단을 만들어 가는 것이 목표이다.* 약 력포항 영흥초등·대동중·고교 졸업,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홍익대학교 대학원(공간디자인)졸업. 논문엑스포에 있어서의 국가관 연출 연구, 2009, 저서세상을 바꿔라, 2012 중 `도심 속의 갤러리를 꿈꾸며` 등./이창형기자 chlee@kbmaeil.com

2012-05-21

건강한 법인정상화·학생이 행복한 대학 약속대로 끝까지 추진해 나가겠다

건강한 법인정상화를 통한 대구대의 학원 정상화를 위해 긴 마라톤을 뛰는 홍덕률 총장이 임기의 반환점을 돌아섰다.직선제 총장으로 사학분규가 남긴 생채기를 수습하며 교육역량강화사업 선정 등 구체적인 성과로 대학구성원에게 기쁨을 선물한 지난 2년여의 임기에 대해 정리하고 남은 기간에 해야 할 일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 직선제 총장으로 취임하며 `소통과 화합` `분권과 자율` `신뢰와 상생`등 3가지의 경영원칙과 학생이 찾아오는 대학, 지역과 국가 그리고 인류에 대한 책임을 실천하는 대학을 표명했다. 취임 이후 2년 동안 추진성과를 밝혀 달라.△지난 2009년 11월 총장에 취임하며 교원충원과 취업률 등 대학의 주요 지표를 끌어올리고 대학경쟁력을 강화하는 일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정책 방향을 정했다.학생이 찾아오는 대학, 세계의 학생이 대구대에서 글로벌시대의 꿈을 키워갈 수 있는 특성화 글로컬 캠퍼스, 재정 건전성의 강화와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부자대학, 지역사회와 국가의 비전을 밝히는 비전이 있는 대학, 사랑·빛·자유 등 건학정신이 충만한 아름다운 대학 등 5개 프로젝트를 제시했다.하지만, 이 프로젝트는 시간이 해결해 줄 수 없었다. 임시이사체제와 직면한 현실은 낙관적인 것이 아니었지만 대학구성원들에게 대학의 실상을 그대로 알리며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함께 허리띠를 졸라매자고 호소하면서 대학경쟁력 강화를 위한 총체적 구조 개혁에 나섰다. `학생이 행복한 대학`이 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총장과 교수, 직원 중심의 대학체제를 학생· 교육· 산학협력·취업 중심으로 전환하며 산학협력의 활성화와 취업률을 높이고자 발로 뛰었다. 학생의 취업을 위해 지역공단과 기업체를 방문해 협력방안을 마련하고 책상머리가 아닌 현장에서 답을 찾았고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또 학생을 주인으로 삼는 대학이 되도록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대화와 소통을 시도하고 대학 역사상 처음인 학과장 비상회의를 2010년 4월에, 학과장 워크숍을 지난해 2월과 7월, 12월에 가지고 단과대학으로 찾아가는 전체 교수회의 등 대학구성원의 역량결집을 시도했다.비정규직 교수에게도 전국 최고의 강사료를 지급하고 민노총 소속의 비정규직 교수노조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며 분규와 갈등이 없는 노사평화 체제를 정착시켰다. 투명경영과 신뢰경영, 소통경영으로 직원노조와 2010년에는 무교섭타결을, 2011년 교섭 개시 전 임금동결 선언, 올해는 최단기일 내 단체협상 타결을 이끌어 내었다. 대학구성원 모두가 학생이 행복해야만 대학 경쟁력이 높아진다는 것에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려운 과정 속에서 최근 국책사업들에 선정되었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성과가 있었나.△지난 3월과 4월, 교육과학기술부 주관의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LINC) 사업과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 교육역량강화사업에 선정되었다.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과 교육역량강화사업 선정은 매우 감격스럽고 기쁜 소식이다.대구대는 지금까지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으로 진행된 3개의 국책사업 중 어느 하나도 지원받지 못하였지만 많은 대학이 국고로 산학협력 분야의 실적과 지표를 꾸준히 관리해 왔기 때문에 그들과 경쟁해 위 사업에 선정된다는 것은 사실상 너무도 어려운 도전이었기 때문이다. 총장에 취임한 직후였던 2년 전과 1년 전에 대학구성원들이 느꼈던 참담함은 상당했다.교육역량강화사업을 비롯한 대형 국책사업들에 연이어 실패하면서 사기는 급속히 떨어져 이를 만회하고자 총체적 구조 개혁에 나서면서도 성과를 올해 거둘 수 있으리라고는 기대하지 않았다. 중요한 지표들은 1~2년에 눈에 띄게 개선될 수는 없는데다 경쟁 대학들은 국고지원을 받아 정신없이 뛰어나가는 상황이어서 차기 총장 임기 중에라도 성과가 나타날 수 있다면 다행이겠다는 생각을 했다.앞서 말한 산학협력의 활성화와 취업률 제고를 교육부의 정책적 강제에 대응하는 차원을 넘어 지방 사립대학의 가장 중요한 사회적 역할이자 존재 이유라고 믿고 달려왔다.지역의 우량 중소기업들을 산학협력 활성화와 학생의 취업 타켓 집단으로 설정해 적극적으로 방문하고 CEO들과 토론하며 중소기업의 요구를 보완하려 노력한 결과인 것 같다.- 끝이 보일 것 같던 법인 정상화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법인정상화의 과정은 어디까지 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진행되는가.△많은 관심을 받는 대구대의 정상화는 어려운 문제이다. 대학 경쟁력을 단기간에 끌어올리는 것만도 만만치 않은 과제였지만 큰 과제 중의 하나가 법인정상화로 폭발력도 강하고 갈등을 피할 수 없는 과제로 매우 복잡한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것과 같은 어려운 일이었다.갈등을 최소화하고자 고 이태영 전 총장의 유지를 존중해 그의 장남인 이근용 교수와 그리고 애초 종전이사 측과 특별한 관계였던 이상희 전 이사장을 정이사로 추천하고 지역의 기관장들도 동의하고 지지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으로 정상화 방안을 마련했다.취임 직후인 2010년 2월에 정상화 방안을 확정을 지어 사학분쟁조정위원회에 동년 6월에 제출했고 사학분쟁조정위원회에서 지난해 7월 정이사 명단을 확정 짓고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10월 임명 발표했다. 지금까지 정이사회가 5차례나 열렸으나 이사장 선출에 실패하고 지역사회에 걱정을 끼치고 있어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하지만, 오랜 진통을 끌어왔던 법인정상화도 거의 막바지에 달했다고 본다. 대구대의 법인정상화는 단순히 대학경영권을 둘러싼 이해관계자간 이권다툼이거나 형제간 재산싸움이 아니라 정의 대 불의, 교육 정의 대 교육 불의의 대결이다.대구대는 `사랑·빛·자유`를 건학정신으로 하고 있다.장애인의 인권과 복지를 구현하고, 나아가 사회적으로 소외된 약자를 배려하며 그들에게 교육권과 인권, 복지권을 보장하는 대학이념으로 볼 때 전국의 360여 개 대학 가운데 하나가 아니라 꼭 존재해야 하는 특별한 대학이다.총장취임 직후 `교수신문`과 가졌던 인터뷰에서 했던 발언, “최소한 대학에서만큼은 민주주의가 곧 경쟁력이라는 사실을, 저와 대구대학교가 입증해 보이겠다”고 한 말을 항상 명심하고 있다. 설립자 유족과 대학구성원, 지역사회가 토론하고 합의하면서 추진해 온 `법인정상화` 모델이, 단지 대구대를 위해서가 아니라 대한민국 대학사회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성공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남은 임기 중에는 어떠한 것에 중점을 둘 것인가.△모순의 관계에 있는 법인정상화와 대학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다. 법인정상화는 대학구성원과 지역사회, 관련기관 등이 연대해야 하는 과제이지만 대학경쟁력 강화는 대학구성원 사이의 갈등을 촉발시키는 과제로 어려운 문제이지만 책임지고 추진할 것이다. 국책사업들을 통해 지원받게 될 국고지원금을 교육과학기술부가 대학을 평가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주요 지표들인 교원충원율과 재학생충원율, 취업률, 교육비 환원율 등을 개선하고 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집중 투자해 대학의 경쟁력과 지역사회와 국민을 상대로 약속한 `학생이 행복한 대학`을 구현해 나갈 것이다.또 대학 내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조속한 시일 내에 `건강한 법인정상화`를 매듭짓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이사들을 대상으로 대구대의 역사와 현실과 중차대한 과제들을 정확하게 설명하면서 이사진의 협조를 구해 갈 것으로 지역 언론도 건강한 법인정상화 과제와 대학경쟁력 강화 등에 관련해 따뜻한 성원과 따끔한 질책을 아끼지 말아주길 바란다.다시 한 번 대구대를 학생이 행복한 대학으로 발전시켜 가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밝힌다.경산/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

2012-05-21

문화복지 욕구에 훨씬 못미치는 복지정책

문화예술은 삶의 여유를 위한 현대사회의 중요한 요소다. 기존의 전통문화를 보존하거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예술인들을 후원하는 정도로만 여겼던 문화정책이 1970년대 이후 전환기를 맞으면서 문화예술인의 창작활동만 지원하던 정책에서 일반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문화예술 향유기회를 확대하는 정책으로 전환됐다. 우리나라의 문화정책도 2002년부터 문화예술 생산자 위주의 지원정책에서 문화예술 향수자 위주의 지원 정책으로 전환해 문화예술의 창조역량과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 확대, 문화예술 교류를 활성화하고 예술의 보존과 계승 등의 목표를 세우므로 예술조직들이 이전과 달리 보조금 배분에만 의존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경영에 나서게 됐다. 이전의 문화정책은 소수의 엘리트를 위한 정책으로 비난을 받으며 문화예술인력 양성개발과 재정지원 같은 특정 목적에 한정됐다. 하지만 시민을 위한 시민과 함께하는 문화예술로 방식을 전환하면서 생활 속에 문화예술이 깊이 파고들게 됐다.경상북도의 문화복지 현주소1 경북도내 문화사각지대 현장2 경북도민 대상 문화회관 등 문화시설 이용 설문3 경북도청 문화바우처 허와 실4 경북도청 문화정책 진단5. 프랑스 문화부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정책 들여다보기6. 독일 등 유럽의 문화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정책7.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정책 수립 제언하지만 그동안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문화를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자원으로 인식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매우 미흡한 수준에 머물렀다. 또한 지역의 문화시설 및 문화프로그램이 매우 부족할 뿐만 아니라 문화행정과 문화시설 운영이 전문적이고 생산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그리고 지역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마케팅 활동이나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정보서비스 수준도 매우 낮은 실정이다.실제 청송군 진보문화체육센터나 군립야송미술관은 공식 홈페이지가 개설돼 있지 않다. 청송군청 홈페이지에 들어가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그곳의 정보를 알 수 있다.특히 진보문화체육센터는 공연이 고작 1년에 2~3회에 불과하고 전시장은 갖추고 있지 않아 제공할 정보가 없을 뿐 아니라 공연 정보는 전무하다.한 문화복지 전문가는 지역 주민들은 문화생활을 누리고 문화예술에 관한 지식과 정보를 얻으며 실제로 문화창작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문화복지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를 위해서는 특히 문화향유 기회를 스스로 갖기 어려운 저소득계층을 위한 문화복지정책을 따로 수립해 이들의 자긍심과 공동체의식을 고양하고 지역의 정체성을 함께 형성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또 그는 해당 자치단체가 문화지표를 조사하고 문화복지정책 및 행정에 대한 평가를 체계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지방문화복지정책의 틀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조언했다.지역 문화프로그램문화정보서비스 등 수준 매우 낮아문화지표 조사문화복지정책 평가 체계적 실시 급선무문화복지정책은 국민의 문화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인간의 정신적 만족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정책이다. 매슬로(Maslow)는 사회적 욕구와 존경 욕구, 자아실현 욕구와 같은 고차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역할을 문화정책이라 했다. 문화예술을 통해 문화향수를 누리는 것을 국민 기본권으로 보장하고 있기 때문에 소외계층에도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대중에게 문화향수 기회를 확대하므로 일반인이 더욱 쉽게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다. 이런 역할을 하는 곳이 문화재단이나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연장이라 할 수 있다.국민의 문화향수를 충족시키고 좀 더 문화예술에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국민이 누려야 하는 기본권인 문화향수권이 보장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곳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사랑티켓이나 문화바우처 등을 통해 대중에게 문화향수기회를 확대하고 소외계층에서도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는 기회제공을 활성화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방안을 모색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정신적 만족을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또한 중요하기 때문이다.영국의 인류학자 E.B.타일러는 문화를 지식신앙예술도덕법률관습 등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획득한 능력 또는 습관의 총체라고 정의했다. 이처럼 문화를 사람들이 사는 방식으로서 정의할 수도 있지만 음악이나 미술 등과 같이 문화를 향유하고 소비할 수 있는 대상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단순히 라이프스타일을 나타내는 유형으로서 문화를 정의하는 것은 부족함이 따른다.한편 경제가 안정되고 삶의 질이 중요시되는 시점에서 국민의 문화 향유 실태는 충분히 고려해볼 만한 문제가 될 것이다. 문제는 소득의 격차에 따른 경제적인 양극화에 이어 문화 향유에 있어서도 계층 간 양극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10년 주요 업무 계획 보고서에서 평균 문화예술행사 관람률은 회복되고 있으나 월 소득 200만원 미만 가구는 5.5% 감소, 농어촌 지역은 8.1% 감소했다고 지적했으며 2008 문화향수실태조사를 통해 국내 작품 전시 및 공연은 양적으로 증가했지만 예술행사 관람의향은 90.3%에서 88.3%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경제적 양극화는 물론이고 문화 향유에 있어서도 계층 간 불평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경제적 요인에 더해서 노인이나, 장애인, 청소년, 도서지역 거주자 등 연령과 장애 여부, 문화에 대한 접근성 등 문화 향유의 양극화를 일으키는 요소는 다양하다. 따라서 문화 향유의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펴야 할 것이다. 전기가 공장을 움직이게 하듯이 정신적인 가치이자 사회의 기본적인 기초인 문화가, 사회를 움직이게 하는 동력을 공급하는 곳임을 잊어서는 안된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12-05-18

경북 농촌이 희망이다 ③ 예천 회룡포 권역

웅도 경북에서는 희망도 곳곳에 있다. 특히 자연을 그대로 활용한 경북 농촌테마마을은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농업의 대안 사업으로 충분하다. 자원을 새롭게 상품화해 도시민을 끌어들이면 그 자체가 경북의 힘과 에너지가 된다. 경북에는 다양한 자원이 상존한다. 도시민과 관광객에게 새로운 볼거리와 체험거리가 새로운 모습으로 등장하는 배경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예천 회룡포 지역은 성공한 농촌테마마을로 꼽힌다. 단순한 농사 행위를 넘어 주민 스스로 교육과 학습, 그리고 체험을 통해 소득 증대는 물론 운영 관리 능력을 넓혀가는 등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다. □회룡포태백산 능선의 산자락이 둘러싸고 낙동강 지류인 예천군의 내성천이 휘감아도는 육지 속의 섬마을이다. 내성천 줄기가 마을 주위를 350℃ 돌아나가는 광경은 한 폭의 그림이다. 또 마을 주위에는 고운 모래밭이 펼쳐지고 산과 강이 태극 모양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마을 건너편 비룡산의 전망대인 회룡대에 오르면 주변 경관이 한눈에 들어와 가히 압권이다.맑은 강에는 쏘가리, 은어 등이 서식하고 강가의 모래밭을 따라 나무가 심어져 있다. 1997년부터 관광지로 개발하기 위한 공사가 진행되어 회룡포 주변 둑길에 왕벚나무를 심었고, 주변에 공원과 산책로를 내고 잔디를 식재했다. 복원된 봉수대에다 오래된 철쭉군락지는 이곳이 민속마을임을 실감케 한다. 마을 건너편 비룡산에는 통일신라 때 세운 장안사와 원산성 등이 있고, 주변에 용문사 대장전(보물 145) 외에 많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용문사와 예천 감천면의 석송령(천연기념물 294) 등의 관광지가 있다.□회룡포 권역의 비전과 전략회룡포 권역은 신활력 농촌마을 조성을 목표로 한다. 지역주민 혁신역량 강화와 주민조직 교류활성화를 전략으로 하고 웰빙농산물과 전통재래시장 활성화, 생활공간 정비 및 사회복지시설 확충, 농촌경관 보전, 생활기초시설 정비를 전술로 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자립형 농촌마을, 생태농촌마을, 체험형 농촌마을 조성이며 풍요와 물빛이 강화된 회룡포 여울마을 조성은 이 마을 사람들이 이룰 희망이다.회룡포 권역 주민들은 가장 역점을 두는 것은 복지형 농촌마을 조성이다. 이를 위해 기초생활 환경 및 문화복지시설 정비로 쾌적한 정주공간 마련, 정주 여건 개선에 심혈을 쏟아왔다. 이는 이 마을이 살기 좋은 농촌 이미지로 부각되는 계기가 됐다. 이 마을의 또다른 자랑거리는 자립형 농촌 모델이다. 농업 생산기반 및 주요작물생산 기반 고도화, 마을 자생력 강화를 위한 주민역량 강화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농산물 판매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주력한 결과다. 또한, 체험관광형 농촌마을 조성을 위해 폐교 활성화 리모델링, 유교문화경관 정비, 회룡포 송림 및 등산로 정비 등으로 실질적인 농외소득 증가를 위한 기반시설 조성, 경관정비와 민박, 식당 등의 시설 재정비, 내방객의 소비욕구 확대를 위한 지역여건 기반의 체험프로그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회룡포 권역 주요사업예천군 용궁면 읍부리, 무이리, 향석리, 대은리 등 4개 리가 대상이다. 농경지 616ha, 임야 561ha, 기타 49ha 등 1천226ha의 면적에 농가 410호, 비농가 515호 등 925호로 2천224명이 거주하고 있다. 그동안 예천군과 주민들은 `풍요와 물빛이 감아도는 회룡포 여울마을`을 비전으로 71여억원을 들여 마을 안길 포장, 하수도 정비, 마을 하수처리시설 설치 등 기초생활기반을 조성하고 마을회관, 회룡포 송림 조성, 담장정비, 내성천 수변 환경정비 등 문화경관을 개보수했다.또 향석폐교 리모델링, 유교문화경관정비, 테마조형물 등 농촌관광의 틀을 마련하고 공동육묘장을 만들어 주민들의 소득기반 조성은 물론 컨설팅, 마케팅, 주민교육, 축제활성화 등 지역역량강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다. □주변관광지△ 장안사분위기가 호젓하다. 비룡산은 봄이면 산뜻한 새소리와 파릇파릇한 새싹들로 초록빛 바다를 만들고 여름이면 내성천의 상쾌한 물소리와 물고기들의 소풍이 시작되고 가을이면 낙엽이 떨어진 등산코스에서 여유를 즐길 수 있다. 또 겨울이면 얼음 어는 소리와 설경으로 운치를 느낄 수 있는 등 사계절마다 제 색깔을 아름답게 비추어 낸다. 장안사는 그 산 속에 자리한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나서 국태민안을 염원해 전국 세 곳의 명산(금강산, 양산, 비룡산)에 장안사를 세웠는데 한곳이 예천이다. 초창주는 신라 경덕왕 때(759) 운명조사며 고려의 문인 이규보 선생이 이 절에 머무르며 글을 짓기도 했다.△ 비룡산평균 해발이 200m도 채 안 되지만 초입부터 오르막이 시작되고 봉우리를 오를 때마다 낙동강 바닥까지 완전히 내려섰다 다시 올라서는 것이 반복되기에 체감높이는 웬만한 높은 산에 견줘도 손색이 없다. 딱히 정상이 없고 회룡대가 있는 비룡산과 주변의 봉우리를 포함 비룡산 종주산행으로 하고 있다. 삼강앞봉은 회룡포 2전망대와 의자봉 갈림길이며 이곳에서 우뚝 솟은 원산성을 조망할 수 있다. △ 용궁향교옛 용궁현의 뛰어난 인재를 모아서 학문을 강론하고자 세웠다. 조선 태조 7년에 현 위치에서 동쪽으로 100m 지점에 처음 세워졌으며, 정종 2년에 불타 없어졌던 것을 중종 7년에 현위치로 복원했으나 임진왜란 때 다시 불타버려 선조 36년에 대성전과 명륜당을, 인조 14년에 세심루를 새로 지어 오늘에 이르렀다. 용궁향교는 공문 5성 위를 비롯해 송4현 및 국내 18현동 27위의 성현 위패를 보관하고 매년 봄, 가을에 석전제를 올리고 있다./서인교기자

2012-05-18

대구경북 메디밸리 국가의료산업 미래 이끈다

대한민국 의료산업 RD 신중심 `메디밸리(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가 2013년 단지 조성과 핵심 인프라 구축, 지원시스템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의료연구허브로 성장을 본격 시작한다.국가 의료산업의 미래를 열어갈 첨복단지는 지난해 10월27일 기공식을 가지고 2013년까지 단지조성을 완료해 본격적인 연구활동을 시작, 글로벌 의료산업 RD 허브로 자리 매김하기 위해 사전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첨복단지는 정부가 국내 의료산업을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마련하기 위해 글로벌 수준의 신약 개발, 의료기기의 첨단화를 목표로 2009년 8월 대구와 충북 오송 2곳을 입지로 지정했다.정부는 양 단지간 경쟁을 통한 조기성과 창출과 투입재원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는 합성신약과 IT기반 의료기기을, 충북 오송단지는 바이오신약과 BT기반 의료기기에 특성화했다.따라서 대경첨복단지는 2013년까지 인프라 구축과 지원 시스템을 완료하고 합성신약과 IT기반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본격적인 연구활동에 들어갈 예정이다.●의료연구 허브로 부상글로벌수준 합성신약개발...첨단 IT기반의료기기 개발 ●2013년 단지·시설 완공동구 혁신도시지구 내 조성...신약개발지원센터 등 4동●싼 값에 분양3.3㎡ 당 190만원조성원가의 2/3수준법인세 등 5~13년 감면연구기관·기업 유치 박차`첨단의료산업 글로벌 RD 허브`를 비전으로 하는 첨복단지는 최적의 의약품·의료기기 개발 및 임상시험 여건조성을 목표로 총 4조6천억원(국비 1조1천억, 지방비 9천억, 민자 2조6천억)이 투입되는 대규모 국가프로젝트다.첨복단지 지정은 섬유 등 전통산업 구조조정 지연과 기계산업 이후 신성장동력 창출 미흡 등으로 침체기를 겪은 대구시로서는 세계적으로 의료산업분야를 선점한다는 점에서 대규모 국가프로젝트인 추진으로 지역 산업적 지평을 열어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첨복단지는 대구시 동구 신서동 혁신도시 지구 422만㎡ 가운데 103만㎡의 규모로 조성, 핵심 인프라인 정부시설(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지원센터, 실험동물센터, 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은 부지 7만100㎡, 연면적 4만9천181㎡, 소요예산 3천146억원(국비 2천646억, 시비 500억) 규모로 2013년 11월 준공할 예정이다.지자체시설(커뮤니케이션센터)도 부지 1만112㎡, 연면적 1만7천825㎡, 소요예산 415억원(시비) 규모로 내년 4월 준공을 목표로 건립 중이다.신약개발지원센터는 신약후보물질 평가 및 공동개발을,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는 제품설계 및 시제품 제작지원 및 개발을, 실험동물센터는 실험동물 사육과 관리, 기기 성능평가 수술시설을, 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는 임상시험용 시료생산과 기술이전 지원을 각각 담당한다.커뮤니케이션센터는 사무실, 회의실, 숙박시설 등 편의시설 등이 들어서고 민간 입주구역에는 첨단임상시험센터, 연구기관, 벤처센터 등이 입주한다.특히 대구시는 첨복단지 성공의 핵심요인인 기업·정부 연구시설, 민간RD 기관 등의 투자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대구시는 지금까지 10개 국책연구기관, 15개 민간기업과 투자유치 업무협약 (MOU)를 체결하는 등 첨복단지 조기 성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지난해 6월 첨복단지 내 유치가 확정된 한국뇌연구원은 올해 하반기 착공될 예정이며 협약을 체결한 민간기업 중 9개사는 현재 대구 RD융합센터, 대구벤처 센터 등에 임시연구소를 열고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어 조만간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대구시는 협약을 맺은 국책연구기관(분원 포함)과 기업을 우선 타깃으로 정해 실입주 계약을 추진하고 중장기적으로 정부신설 연구소 및 국책연구기관과 단지의 성공을 견인할 앵커기업의 유치를 통해 첨복단지를 활성화시킬 예정이다.김영기 첨단의료복합단지지원과장은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는 미래 신성장동력으로서 침체된 지역경제를 한 단계 도약시킴과 동시에 우리나라 의료산업의 비약적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오는 6월 첨복단지 연구시설용지와 대구연구개발특구 의료RD지구의 제조시설용지 일반분양이 동시에 추진된다.첨복단지 내 첨단의료클러스터 구역은 47만5천618㎡며 외부에 분양할 연구용지 면적은 23필지 39만3천306㎡다.13필지(33만2천441㎡)는 국책 연구기관과 영향력 있는 기업연구소를 유치하기 위해 이번 분양대상에서 제외했고 10필지(6만865㎡)는 2012년 상반기(예정)에 일반분양을 통해 민간에 제공될 예정이며 나머지 연구시설용지로 연구개발특구 15필지 중 9필지(25만5천264㎡)는 제조시설용지가 분양되며 적정 규모(최소 1,650㎡)로 분할분양이 가능하다.분양가격은 3.3㎡당 190만대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충북 오송첨복단지의 38만원에 비하면 높은 편이지만 대도시 도심 내 지하철 역세권과 최고의 정주환경을 갖춘 친환경단지라는 강점과 조성원가가 293만원 보다 낮은 가격으로 책정, 경쟁력이 충분하다. 실제로 성서공단의 경우 3.3㎡당 300~500만원 이상 수준에 가격이 형성돼 있다.  또 입주 기업들에게는 파격적인 세제·재정지원이 이루어질 전망이다.법인세·소득세는 5년간 감면, 취득세 면제, 재산세도 최대 13년간 감면하며 부지대금 일시 납부시 13.5% 할인, 5년간 무이자 분납 혜택도 주어진다.특히 의료연구 관련 각종 특례가 인정되고 정부에서 건립하고 있는 핵심연구시설(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실험동물센터, 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의 기술지원을 바로 옆에서 받을 수 있는 이점이 가장 매력적이다.접근성에서도 주변에 안심역 등 4개의 지하철역과 연결된 진입도로가 있고 4차순환도로가 지구를 관통하고 있는 등 최고 수준의 교통인프라와 팔공산 자락, 수변공원, 과학고 등 정주환경도 매우 뛰어나 투자가치도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한편, 대구시는 6월 일반분양 공고를 앞두고 지난 3월말 서울에서 사전 분양설명회를 개최한데 이어 지난 5월초 대구에서도 현장설명회를 겸한 분양설명회를 추가로 개최하는 등 첨복단지와 연구개발특구의 미래비전과 투자가치의 집중 부각하는 동시에 국내·외 기업유치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이곤영기자lgy1964@kbmaeil.com

2012-05-18

포항시-포스코ICT 감사나눔 운동 손잡았다

오는 23일 포항시는 대규모 감사나눔 범시민출범식을 갖는다. 포항시, 포항상공회의소, 포스코, 포항교육지원청 등이 함께 국내전파를 위한 감사나눔 대장정운동을 시작한다.행사를 앞두고 감사나눔의 전도사들이 만났다. 주인공은 포스코ICT 허남석 사장과 포항시청 방진모 자치행정국장. 지난 10일 오전, 방 국장이 포스코 ICT 본사를 방문하면서 이뤄졌다. 아마도 허 사장이 포항지역 감사나눔의 바이러스를 확산시키는데 불쏘시개 역할을 했기 때문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강력한 내공을 지닌 두 사람의 만남은 만남 자체로 빛을 발했다. 방 국장은 감사나눔 바이러스를 포항 나아가 전국에 확산하려는 박승호 포항시장을 닮아가고 있고 허 사장은 감사나눔을 사실상 포항에 전파한 전문가이다. 감사에 대한 애정은 깊었고 나눔은 끝이 없었다. 할 말도 많았다. 감사에 대해 얘기하다 보면 하루를 꼬박 세울 기세다.포스코ICT 기업문화 위해 `행복나눔 125운동` 전개직원들 `긍정적 마인드` 키워 성과 공유로 브랜드화 할 터포항은 지금 감사나눔이 대세다. 박승호 시장의 감사에 대한 애착은 집착(?)에 가까울 정도다. 얼핏 보면 무섭다. 볼멘소리도 나올만한데 분위기는 점점 박 시장 쪽으로 기우는 형국이다. 포항에 감사를 이끌어낸 허남석 사장도 박 시장의 의욕에 혀를 내두르면서도 싫지 않은 눈치다. 자신이 포항에 감사바이러스를 퍼트렸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일까.포스코를 비롯한 포스코ICT, 포스코 투자사 등은 감사일기쓰기가 이젠 자연스러울 정도다. 포항시청 공무원도 이 대열에 동참했다. 이젠 포항지역 초중고교를 넘어 군장병, 포항시민으로까지 감사 바이러스는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나눔·긍정문화 정착 `앞장` `감사멘토 워크숍` 등 실시`감사나눔 범시민 출범식` 기관별 성공사례 발굴집 발간■ 왜 감사나눔운동인가◇허남석 사장:포스코ICT가 행복나눔 운동을 처음 시작한 것은 지난 201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포스코ICT는 포스데이타와 포스콘의 통합으로 출범한 회사이다. 통합 초기 서로 다른 기업문화로 애를 먹었다. 이를 극복해 화학적인 융합을 이뤄낸다는 차원에서 행복나눔 1.2.5 운동`을 도입했다. 감사나눔에 대한 아이디어는 포스코 사외이사를 지낸 손욱 교수가 제공했다.포스코ICT 기업문화의 키워드는 `신뢰와 소통`이다. 이러한 기업문화를 기반으로 직원들의 신뢰(Trust)를 높이고, 업무에 대한 자부심(Pride)을 키우며, 즐겁고 보람 있게(Fun) 일하는 `Great Work Place`를 구축하기 위해 `행복 나눔 125`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방진모 국장:우리나라는 그동안 경제성장과 함께 소득수준은 2만불이 넘었으나, 부정과 냉소가 만연하고 OECD 국가 중에 자살률이 최고 높다. 각종 통계조사에도 우리나라의 국민 행복지수는 저개발국가보다 낮은 수준이다. 포항시는 민선5기 시정목표인 `행복도시 포항` 실현을 위해 나눔과 긍정, 배려와 소통의 사회문화 정착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감사는 행복의 시작입니다” 라는 모토로 감사나눔운동을 전개하게 됐다.포스코ICT 등 기업에서 감사나눔운동을 도입하고 나서부터 부서원간 신뢰가 높아지고 소통이 활성화된 것으로 알고 있다. 기업에 대한 자긍심과 긍정마인드가 높아지고 업무 몰입도도 높아졌다고 한다. 특히 가족 간의 소통과 정이 두터워진 경우도 많아 아주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 등도 감사나눔을 하게 된 배경이다.■ 감사나눔운동 진행과정은◇방 국장:가나안농군학교 입소 등도 검토했다. 공무원의 여건상 장거리 출장이 어려웠던 점을 감안, 지난 4월16일부터 1박2일간 전 직원을 대상으로 포항청소년수련관에서 감사멘토(행복불씨) 양성 워크숍을 실시하고 있다. 시작은 포스코ICT 등이 했지만 행정기관이 전파하는 데는 보다 원활한 점이 있다. 일전 감사나눔운동 발표대회에서 시장이 즉석에서 상금규모를 높였다. 박시장의 관심도를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주요과제로는 감사한 일 5가지를 노트에 쓰고, 소중하고 고마운 사람에게 감사편지쓰기, 전화나 문자로 감사표현하기 등을 실천하는 것 등이다. 매일 간부공무원이 쓴 감사노트를 출퇴근시간에 청내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박승호 시장을 비롯한 전직원들이 페이스북과 스마트폰 포항시앱인 Quik시스템에 매일 메시지와 댓글 달기로 확산을 시키고 있다. 또 부서별 감사트리, 감사우체통, 감사계단 등 특수시책을 개발해 추진하고 있다.◇허 사장:기업은 기업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 행정기관은 그런점에서 다양한 감사나눔운동을 펼칠 수 있다. 사실 포스코ICT가 시작은 했지만 기업으로 그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인 점도 있다.매주 금요일 `감사하데이(Day)`를 정해 한 주간 감사했던 사람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행복 나눔 125`은 매주 1가지 선행하기, 매달 1회 봉사, 한 달에 좋은 책 2권 읽기, 하루에 5가지 감사하는 것을 실천하는 운동이다. 긍정적인 마인드로 일상에서 감사하고, 보람과 만족을 찾는 등 직원들의 정서를 관리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조직 내에 이러한 운동을 확산할 `불씨`도 선정해 운영하고 있다. 불씨로 선정되면 1박 2일간의 캠프에 입소해 구체적인 방법론을 전수받게 된다. 이렇게 양성된 불씨들은 행복나눔의 효과를 먼저 체험해 열정과 긍정의 마인드로 다른 직원에게 전파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지난해까지 500여명의 불씨를 양성했다. 올해는 이들의 역량을 높여 행복나눔 전도사가 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남은 감사나눔운동은◇허 사장:우리나라가 현재 소득 2만 불에 정체돼 있는 듯한데 앞으로는 반목과 대결이 아니라 감사와 긍정을 통해 사회적으로 다시 한번 활기를 불어넣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최근과 같이 어려운 경영환경을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서도 감사운동을 통해 긍정적인 마인드를 키울 필요가 있다고 본다.이러한 차원에서 행복나눔 운동을 포스코ICT뿐만 아니라 직원들의 가정, 포스코를 비롯한 패밀리사, 파트너사로도 전파하는 등 성공사례로 만들어나가고 있다. 이를 위해 가족과 파트너사 관계자들을 회사로 초청해 그동안 사례를 함께 공유하는 한편 CEO를 비롯한 임원들이 파트너사를 찾아가 방법론을 전파하기도 한다.최근에는 포항시를 비롯한 지역 사회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앞으로 포스코ICT는 그동안 행복나눔 운동의 성과를 공유함은 물론 생활 속에 더욱 내재화하고, 확산해 포스코ICT만의 브랜드로 만들어갈 계획이다.◇방 국장:오는 23일 대규모 감사나눔 운동 범시민 출범식을 갖는다. 포항시청, 포항상공회의소, 포스코 포항교육지원청 등이 함께 나서 이 운동을 정착시키기 위한 행사를 갖고 국내전파를 위한 대장정에 들어간다. 이와 함께 부서별, 학교별, 기관단체, 기업체별 감사나눔 성공사례를 발굴해 적극 전파하도록 할 예정이다.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100가지 감사쓰기, 감사편지 공모를 통해 시상과 함께 사례집을 만들고 전시민들에게 전파해 행복바이러스가 포항시 전역에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말 한마디가 세상을 바꾼다고 한다. 포항은 해와 달의 전설이 있는 빛의 고장으로 학도의용군, 해병대 등 국가위기극복을 선도했고 포스코 건설과 새마을 운동으로 한국의 산업화와 근대화를 선도했다. 역사적으로 국가를 선도한 포항이 감사운동을 통해 새로운 정신운동의 발상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53만 포항시민 모두가 행복도시 포항 실현을 위하여 감사나눔운동에 전 시민이 참여해 줬으면 좋겠다./이준택기자 jtlee@kbmaeil.com

2012-05-14

땅끝마을로의 여행 (16)

여행은 나름 계획속에서 떠나는 여행이 대다수지만 우연히, 아니면 가다보니까 생각하지도 못한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는 재미는 그어떤 여행보다도 기억에 남기 마련이다.몇해전 떠난 전라도로의 여행이 나에겐 그런 추억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때 이후, 같은 하늘아래에 있는 새로운 세계로의 여행은 몇 번이나 계속 되었다.찌는 듯한 더위, 그때 초여름은 어찌나 더웠던지, 무기력하고 10m도 채 걸어가기 싫은 나에게 부인이 온종일 떼를 쓰다시피하며 결국 짐을 챙겨 출발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목적지가 어딘데” 라는 나의 물음에 “땅끝마을”이라는 짧은 대답한마디에 바로 주저 앉고 싶었다. 어디 가까운 옥계 계곡쯤 물놀이 가지 하고 차를 몰았는데 전라남도 해남의 땅끝마을이라는 청천병력같은 대답이 나온것이었다. 그 시간이 오후 3시, 그 순간부터 나의 고행 시간은 시작 되었다. 일하기 싫어하는 소를 몰고 밭갈이 하는 심정이랄까.전망대서 만끽하는 다도해의 장관… 사계절 내내 관광객 북적 자전거와 연인들의 천국` 담양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도 감동더운 날이라 그런지 차도, 내 마음도 고속도로를 달리면서도 벌써 헥헥 숨이 차기 시작하는 느낌이었다. 징징 거리며 차를 몰고가다보면 대구쯤 가다보면 돌아가자 하겠지. 설마 이시간에 땅끝마을 까지 정말 가자는건 아니겠지 하는 내심 맘속에 기대하며 천천히 차를 몰고 가보지만 그런 말은 나오지 않고, 어느덧 차는 남대구를 지나 88고속도로를 타고 있었다. 떠나기 싫은 여행이라 그런지 머리도 아파오고 몸도 아파오고 , 슬슬 짜증도 나기 시작할때쯤 막내녀석이 차안에 냉냉한 분위기를 파악했는지 평소 안하던 온갖 재롱을 피우며 억지 개그도 하고 하는 모습에 대한민국 아버지의 근성이 나에게도 발동되었다. 그래 이왕 나온거 즐겁게 가자 싶어 “출발”이라는 구호에, 금세 차안 분위기는 180도 바뀌었다. 그때 차창 밖으로 거창IC 가 지나가고 있었다. 순천을 지날때쯤, 언젠가 보성차밭에 한번 가보고 싶었던 기억에 차를 보성으로 몰았다. 목포나 광주 등에서 전시회 기회로 한번씩 올때마다 느꼈던 동해안 과는 다른 이국적인 풍경이 눈앞에 계속 펼쳐지고 있다는 느낌의 종착역 보성차밭, 감탄사가 입을 다물지 못하게 한다. 더넓은 차밭을 거닐며 온산 가득한 차향을 마시며 아이들과 숨바꼭질도 하고 녹차 국수도 한그릇하고, 사진도 찍고 하다보니 주변에 어둠이 서서히 내려오고 있었다. 순간 갑자기 뇌리를 스치는 것은 숙박 장소를 정하지 않았다는 것. 보성 차밭에도 몇동의 숙박시설이 있었지만 벌써 방은 하나도 없다. 주인에게 숙박할만한 곳을 물어보니 조금만 내려가면 해안가가 나오는데 그곳을 가보란다. 그렇지만 오늘같은 날은 예약을 하지 않았으면 방이 없을거라고 하며 몇군데 전화를 해보더니 순천을 비롯해 반경 30km안에는 방이 없다는 것이 아닌가. 급히 서둘러 해안가로 내려올때는 어둠이 짙어졌다. 율포솔밭 해변을 내려가니 제법 번화한 곳인데도 방이라곤 한군데도 남아 있지않아 해안을 따라 굽이굽이 내려오는 해안도로가 동해 바다길 과는 다른 매력이 있다. 조금더 내려오니 수문해수욕장(?) 해안가가 보인다. 몇군데 알아보니 역시 방이 없어 체념한채 마지막 큰 모텔이 있어 포항에서 왔다며 사정을 애기하니 역시 방이 없단다. 씁쓸히 돌아나오는 우리를 보곤 잠시기다려 보라더니 어느 곳에 전화를 돌렸다. 밤 9시에 예약을 한 손님이 아직 도착하지 않은 곳이 있다며, 그때가 밤 9시5분. 집사람과 눈치를 보며 대화내용을 멀리서 듣고있는데 “예약시간 이 지났으니 다른 사람에게 방을 주겠다”는 말소리가 들렸다. 방값은 5만원. 감개무량이었다. 방도 방이지만 최소 이런 성수기면 15만은 족히 부를 것이라 생각했는데, 밤늦게 아이들과 멀리서온 손님을 위한 마음, 그리고 바가지 요금이 없는곳. 이곳의 인심은 나의 뇌리에 그렇게 박혀 주위사람들에게 해남쪽의 인심을 지금도 자랑하곤 한다. 주인의 배려로 큰방에서 첫밤을 기분좋게 지낸 우리 가족은 다음날 일찍 다시 땅끝마을로 달렸다. 이런 시간이라 그런지 군데군데 안개가 어찌나 많은지, 안개속으로 파도하나 없는 해안가는 신비감마저 들게한다. 아름다운 드라이브길, 해안길이라는 이정표들이 없어도 그길은 정말 잊혀지지 않는 아름다운 길이었다.한참을 달려 어느작은 어촌마을에 들러 간식이라도 사야겠다는 생각에 차를 주차하는데 앞에 큰 돌하나가 서있는데`땅끝마을`이라는 문구가 쓰여져 있는게 아닌가. 주변 풍경들에 매료되어 이미 땅끝마을에 도착하는 줄도 모르고 도착한 것이 우스워, 모두가 한참 웃었다.암튼 이곳이 우리나라 땅의 끝이라는게 뭔가모를 신비감마저 들게하였고 가슴까지 뛰는 이상한 기분을 맛본 경험이었다.땅끝마을은 상상 밖으로 꽤 번화했다. 본래 지명인 `토말`에서 2008년 `땅끝`으로 개명하면서 국토순례단을 비롯한 관광객들이 사계절 내내 국토 최남단으로 몰려들기 시작했다. 이곳 사자봉 정상에 다도해가 한눈에 들어았다. 전망대가 세워지고 전망대에 오르는 모노레일이 개통되면서 한적하던 반농반어 마을은 해남을 대표하는 관광지로 변신했다.봉화대 위쪽, 사자봉 정상 바로 옆에 세워진 전망대에 오르니 다도해가 한눈에 들어오는데 남쪽으로 노화도와 보길도가 보였다. 또 눈을 돌리면 진도를 비롯하여 어룡도, 백일도, 흑일도, 조도 등 크고 작은 섬 20여 개가 눈앞에 가득 펼쳐졌다. 해질 무렵, 서해바다를 붉게 물들이며 펼쳐지는 낙조는 땅끝이 갖는 신비감과 함께 더 없는 황홀감을 안겨줬다.돌아오는 길, 큰아들 녀석이 어디서 들었는지 담양에 있는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을 가보자 한다. 광고에서 몇 번 봤지만 이쪽에 있다는 사실은 생각지도 못했었다.메타세쿼이아가 길은 담양읍 학동교차로에서 24번 국도를 따라 순창까지 이르는 길에 조성된 가로수 길로, 국도 바로 옆으로 새롭게 국도가 뚫리면서 이 길은 산책을 하거나 자전거를 탈 수 있는 도로를 만든곳이다. 그 외에 15번 지방도, 29번 국도, 금성면과 순창군을 잇는 24번 국도 일부 구간에도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이 조성되어 있다고 한다. 가로수길의 총 길이 약 8.5km, 도로를 사이에 두고 양쪽 길가에 높이 10~20m의 메타세쿼이아가 심어져 있는데 입이 쩍 벌어진다. 차를 한가운데 세워두고 영화를 찍듯 온가족이 연출을 하고, 집사람과 팔짱을 낀채 걸어가면 아이들이 연신 카메라를 돌려된다. 1970년대 초반 전국적인 가로수 조성사업 때 담양군이 3~4년생 메타세쿼이아 묘목을 심은 것이 현재의 울창한 가로수 터널길이 되었다고 하는데, 국도 24번 확대포장 공사 당시 사라질 뻔 했던 것을 담양군민의 노력으로 지켜낸 결과 현재 담양을 상징하는 장소가 되었다고 한다. 이나무는 경주 첨성대쪽 능을 따라 가면 내가 즐겨찾는 커피집 앞에 몇그루가 높이 서있어 즐겨 찾는 곳이기도 한 그 나무이다. 자전거와 연인들이 즐비한 메타세쿼이아 가로수는 여행의 마지막 코스로서 극치를 보여주었고 무심히 떠나는 여행이 주는 또다른 세계의 맛을 느끼게 하는 소중한 경험이었다.오늘 가까운 경주에라도 가서 메타세쿼이아 나무를 보며 커피나 한잔 해야겠다.

2012-05-14

포항시민 행복지수 조사한 안상섭 박사 “시민이 행복해야 포항도 행복”

지역의 한 연구소가 지난주 발표한 포항시민의 행복지수가 포항지역사회를 흔들었다. 특히 포스코 직원들의 행복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포스코의 복지정책 등이 일반직장인들로부터 부러움을 사기도 했다. 학생들의 행복도가 떨어진 것은 당연해보이지만 수치로 계량화한 것은 처음이었다.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일각에서는 제기된다.행복지수를 발표한 고려능력개발원은 가능하면 이러한 행복지수를 주기적으로 조사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이다. 주기적인 행복지수 조사는 포스코 등에서 일기시작해 포항시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감사나눔운동의 평가도 가능해져 보인다. 포항시민의 행복지수를 조사한 안상섭박사(고려능력개발원장)를 만났다.-포항시민의 행복도, 전반적으로 어떻게 나왔다고 평가하는가△전체적으로 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삶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느끼며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이 증가할 수록 삶의 만족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직업적으로는 전문직 종사자의 삶의 만족과 욕구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에 따라서는 500만원대 소득자 삶의 만족도와 욕구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거지에 따른 행복도, 다시 말하면, 남구냐 북구냐에 따라서는 행복도의 차이가 없었다.-`삶의 행복의 조건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평가한다면△ 이 부분은 Maslow의 욕구이론을 바탕으로 했다. 이 이론은 생리, 안전, 애정, 존경, 자아실현의 욕구에 대한 문항들로 구성돼 있다. 이문항에 대한 정답은 점수로 환산하면 100점 만점에 62점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 주거지에 따는 차이는 없었다. 직업에 따라서는 전문직종사자가 판매/서비스직 종사자 보다 유의있게 높게 나타났고, 소득에 따라서는 500만원대 소득자가 200만원대 소득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서 연령과 소득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당신은 지난 몇 달 동안을 어떻게 느끼며 생활 했는가` 이 부분은△ `당신은 지난 몇 달 동안을 어떻게 느끼며 생활 했는가`에 대한 포항시민의 점수는 100점만점에 63.21점으로 나타났다. 질문의 내용은 지난 몇 달간 삶이 얼마나 즐거웠는지, 가치가 있었는지, 희망적이었는지, 보람되었는지에 대한 물음이었다. 성별로는 여성(65.35)이 남성(61.95)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연령, 직업, 소득, 주거지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소득격차에 따라서 행복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최근 세계 54개국의 행복지수 조사결과에 의하면 1위 국가의 국민의 소득이 200달러의 방글라데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나라는 어떤 나라인가? 소득과 행복도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하지만 선진국인 미국과 일본은 중위권 혹은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그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여기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24위에서 30위권을 왔다갔다 한다. 결론적으로 상대적 빈곤감과 박탈감이 우리지역에서도 행복감의 격차가 벌어졌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대목이다.-학생들의 행복도가 포항시민의 평균치에도 미치지 못하게 나왔는데△직업별로 보면 전문직 종사자가 67.14점이고 학생은 56.88점이다. 그 원인은 우리나라의 입시제도와 학교 폭력과 같은 것들이 행복도가 평균에 못미치게 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역시 다양한 원인 분석이 이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행복지수를 다른지역과 비교한다면△조사내용이 같지는 않지만 거의 자치단체에서 어떤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조사한 행복도 자료에 의거하기때문에 유사합니다. 그 결과 2011년에 대전광역시가 100점 만점에 70점, 경기도 성남시는 68.8점으로 나타났다. 우리 포항은 62.5점으로 조금 못미친다.-지역민이 행복해야 지역사회도 행복해질 수 있다고 한다. 우리 지역에 어떤 방안이 세워져야 한다고 보는지△ 저는 심리학자로서 우선 지역을 행복하게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가 행복해야 미래가 행복하다는 말이 있듯이 우선 개인의 행복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각자가 노력을 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저희 개발원에서 행복한 나를 만들기 위해 많은 프로그램을 하고 있다. 아마도 시청관계자나, 교육청 관계자, 기업 관계자들이 머리를 맞대면 좋을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본다./이준택기자jtlee@kbmaeil.com

2012-05-11

`행복지수 95점` 포스코, 알고보니 감사나눔운동 덕

포항제철소(소장 조봉래)가 행복제철소로 변하고 있다. 감사 나눔운동 덕이다. 감사나눔운동은 최근 포스코가 추진하고 있는 `사랑받는 기업`에서 출발한다. 직원으로부터 사랑받는 회사가 되고 직원이 행복을 느끼는 일터를 만들자는 취지다. 감사와 웃음, 선행을 나누며 지식과 지혜를 공유하는 것, 그것이 감사 나눔 운동이다. 최근에는 포항시로 감사바이러스가 전이됐다. 박승호 포항시장부터 감사 실천에 열을 올리고 있다. 포항이 감사의 도시로 비상하기 위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먼저 시작한 포스코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 포항제철소 산하 부서들은 감사 나눔 운동을 어떻게 실천해나가고 있을까. 궁금해지는 대목이다.부서마다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감사나눔운동 확산작년 11월 주임 이상 대상 감사관련 특강이 도화선감사 바이러스 포항시청으로 퍼져… 감사도시로 비상포스코가 감사나누기 도입을 선언한 것은 지난 11월. 주임이상 직책보임자 대상으로 감사관련 특강을 실시하는 등 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당부한 이후로 제철소 부서별로 감사나눔운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포항제철소는 감사나눔운동을 직원들이 보고 배울 수 있도록 제철소장 등 임원과 직책보임자가 먼저 실천하고 주임, 수퍼바이저 단위를 중심으로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조봉래 포항제철소장은 “감사나눔운동은 자신감과 긍정의 마인드를 고취시켜 업무능력을 높이는데 효과를 보이고 있다”며 “포항제철소는 감사나눔운동을 가정에도 전파해 행복한 직장과 가정을 만드는데 기여할 계획이다”고 말했다.생산기술부는 감사나누기 활동의 일환으로 `나우포` 활동을 펼치고 있다. 나우포는 나에게 감사, 우리에게 감사, 포스코에 감사라는 뜻이다. 이 활동의 목적은 모든 것에 감사하는 마음을 가짐으로써 행복한 일터를 조성하고 업무능력을 높이자는 것이다.직원들은 매일 아침 자리에서 일어날 때마다 나는 할 수 있다고 다짐하고, 잠자리에 들기 전에는 오늘 하루도 고생한 자신에게 고맙다는 말을 하고 있다. 또한 가족과 친구, 동료에게 감사메시지를 발송하고 외주사,운송사,하역사 등 함께 일하는 협력사 직원에게 감사하기 활동도 펼치고 있다. 포스코에 감사하는 활동으로는 퇴직 선배에게 감사인사 전하기, 감사하는 마음으로 업무하기 등의 액션플랜을 바탕으로 사이버 학습동아리 방에 감사의 글을 등록하고 있다. 제선부는 감사노트에 하루 5가지 이상의 감사한 내용을 찾아 기록하고 있다. 감사노트는 한 손에 들어오고 작업복 주머니에도 넣을 수 있는 크기다. 직원들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감사노트를 작성할 수 있다.제선부 직원들이 감사노트를 작성하기로 한 데에는 각별한 이유가 있다. 요즘에는 손글씨를 쓰는 맛도, 보는 즐거움도 경험하기 어렵다. 그런데 손글씨를 통해서는 쓰는 사람의 마음까지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제선부 직원들은 아날로그식 노트 작성으로 감사의 마음을 공유하고자 한 것이다.제선부 직원들은 감사노트를 시작할 때는 3가지도 찾기 어려웠지만 이제 5가지 감사를 찾는 것쯤은 식은 죽 먹기라고 한다. 동료들과 내용을 공유하는 것도 처음엔 어색하고 쑥스러웠는데 지금은 자연스럽다고 덧붙였다.선재부에 얼마 전 웃지 못할 해프닝이 벌어졌다. 최근 선재부에는 감사한 마음을 상대에게 직접 전달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들은 진심을 표현하는 훈련이 돼 있지 않아 막상 마음을 표현해야 할 자리에서 멋쩍게 웃거나 머리를 긁적이는 게 보통이다. 특히 40, 50대는 과묵한 것을 미덕으로 여기던 세대다. 그래서 큰맘 먹고 감사편지를 써놓고도 상대방에게 전달하려고 하니 또 쑥스러워 기껏 적은 편지를 몇 날 며칠 호주머니에 넣고 다니다가 그만 옷과 함께 세탁하게 된 웃지 못할 일도 있었다.그래서 선재부 직원들은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감사편지를 전달하는 우체통을 설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사랑의 우체부로 지정된 파트장들은 운전실을 방문하거나 점검활동을 할 때 감사편지 전달 우체통에 쌓인 감사편지를 수거해 수신자에게 배달하고 있다. 선재부의 감사편지 나누기는 우체통을 설치한 뒤 더욱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열연부는 `Thanks Together 열연`이라는 슬로건 아래 가족과 동료,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감사나눔 활동을 펼치고 있다.가족과 함께하는 감사나눔 활동으로는 가족에게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말하기와 감사 저금통을 만들어 한 주간 감사하다고 느낀 내용을 매주 일요일 가족과 함께 읽어보는 시간을 갖도록 권장하고 있다. 동료와 함께하는 감사나눔 활동으로는 서로의 비밀 수호천사가 되어주는 `마니또`(비밀친구라는 뜻의 이탈리아어) 활동을 하고 있다. 지역사회를 위한 감사나눔 활동으로는 `1004(천사) 프로젝트`를 개시해 바자회나 일일찻집 개최 등으로 1004만원을 만들어 이웃에 환원하기로 했다. 전기강판부는 `321 감, 칭, 미` 사이버 학습동아리를 오픈했다. 321 감, 칭, 미란 3가지 감사한 일, 2가지 칭찬하고 싶은 일, 1가지 미안한 일을 줄인 약자다. 전기강판부는 나와 내 주변의 일상적인 것에 감사하고, 칭찬하고 싶은 동료 혹은 사과하고 싶은 동료에게 마음을 전하자는 뜻에서 321 감,칭,미 운동을 시작했다.전기강판부 직원들은 “우리 주변에 늘 감사한 일, 칭찬하고 싶은 일, 미안한 일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표현하지 못하는 게 안타까워 321 감, 칭, 미 사이버 학습동아리를 만들게 됐습니다. 지금 우리 곁에 계신 분들은 전부 없어서는 안 될 동료이자 가족입니다. 이제부터는 표현하며 삽시다”라고 말했다.321 감, 칭, 미 사이버 학습동아리에 작성한 글은 인사를 전하고 싶은 동료에게만 선택적으로 이메일을 보낼 수 있다. 혹시 이메일을 받지 못한 사람도 사이버 학습동아리에 방문하면 누구나 글을 조회하고 댓글을 달 수 있다. 직원들은 321 감, 칭, 미 사이버 학습동아리가 전기강판부의 사랑방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포항제철소 후판제품공장은 초콜릿으로 동료 간 사랑을 표현하고 있다. 매일 아침 업무계획을 공유하는 VP(Visual Planning)시간이 끝나면 남구원 공장장을 비롯한 직책보임자와 스태프 직원들은 각자 감사주머니에 달콤한 초콜릿과 사탕을 가득 챙기고 사무실을 나선다. 운전실과 생산라인을 돌아다니며 마주하는 직원들과 반갑게 인사하고 준비해간 감사주머니를 열면 기호에 따라 사탕이며 초콜릿을 고를 수 있도록 배려한다.후판제품공장 직원들이 달콤한 간식을 들고 다니며 동료들에게 나눠주는 이유는 바로 초콜릿에 숨어 있는 효능 때문이다. 코코아에 함유된 테오브로민은 기침을 억제하고 단맛은 통증 완화와 긴장감 해소에 도움이 된다. 한편 후판부는 작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칭찬릴레이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예정이다. 이 밖에도 감사보드판 운영이나 감사동전 옮기기, 가족에게 감사카드 전달하기, 출근 전 가족들과 사랑의 포옹하기 활동도 추진하고 있다./이준택기자 jtlee@kbmaeil.com

2012-05-11

금자 묻힌 경주-은자 묻힌 상주, 이름하여 경상도라

경북 서북쪽 내륙 깊숙히 위치한 도농복합형 도시 상주. 넓은 평야와 적정한 강우량, 많은 일조량으로 농사에 천혜의 조건을 갖춘 상주. 귀농·귀촌을 꿈꾸는 도시인들로부터 각광받는 지역으로 손꼽힌다. 그 중에서도 생명의 힘이 꿈틀대는 은자골을 중심으로 한 지역은 가고 싶은 곳, 살기 좋은 곳, 앞서 가는 마을 만들기로 전 국민의 휴식처로 인기를 더해 가고 있다.경북도와 상주시는 은자골을 기초생활 환경 정비를 통한 주민휴양 공간과 도농교류 공간이 공존하는 살기좋은 마을로 조성하고 있다. 농가소득 증대 및 주민역량 강화로 앞서 가는 마을로 꾸미고 있는 것이다.`삼백의 고장` 명성… 자연환경 수려한 호국 도량성주봉휴양림·동학교당·경천대 등 볼거리 다양농사에도 천혜 조건… 대표적 귀농·귀촌지 각광▲ 은자골.□은자골 `경상도`는 경주의 금척과 상주의 은척이 있는 데 착안해 만들어졌다는 설도 있다. 그만큼 은자골(은척의 옛이름)은 유래 깊은 곳이다.옛날에 죽은 사람도 살린다는 금자(尺)와 은자(銀尺)가 있었다. 이 때문에 하염없이 사람이 늘어나서 나랏님도 걱정할 지경이었다. 그리하여 결국 자를 땅에 묻기로 했다. 금으로 만든 자(尺)는 지금의 경주 금척에, 은으로 만든 자(銀尺)는 지금의 상주 은척에 묻기로 하였다. 사람들은 은자가 묻힌 산이라 해 은자산이라 부르고 은자산의 이름을 따서 `은자골`로 불리게 됐다.은자골에는 수려한 자연환경 만큼이나 충의의 고장으로도 유명하다. 고려 말기 몽골 군이 상주성을 침공했을 때, 황령사 승려 홍지야가 관민병을 이끌고 나아가 격퇴했고, 임진왜란 때에는 의병의 근거지로서 호국의 도량이 된 곳이다.예부터 상주를 삼백(三白:쌀, 곶감, 누에고치)의 고장으로 불렀다. 은자골은 두곡리에 400여년 된 뽕나무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보존돼 있으며 청정자연의 산들이 둘러싸고 있고 황령천이 중앙으로 흐르며 평야를 이룬 지형적 특성과 천혜의 기후조건, 그리고 황령 저수지가 조성돼 있다.◆주변관광지▲ 성주봉 자연휴양림 물놀이장.□성주봉 자연 휴양림아름다운 자연경관의 울창한 숲과 맑은 공기, 깨끗한 물 등이 조화를 이룬 상주시 은척면 남곡리 성주봉(해발 606m) 기슭에 412ha 규모의 `성주봉 자연휴양림`이 있다. 지난 1998년 4월 착공, 총 사업비 19억3천만원을 투입ㆍ완공했다.`성주봉 자연휴양림`은 산림 내 휴양과 휴식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본시설만을 설치해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했으며 깊은 계곡에서 자연을 만끽하며 휴식할 수 있는 숲 속의 집 4동과 단체용 11실이 마련된 휴양관 1동을 갖추고 있다.금불초 등 16종의 야생화 1만 8천 그루와 3천 평에 달하는 밤나무단지, 5천 평의 수목 전시장도 빼놓을 수 없는 `성주봉 자연휴양림`만의 자랑거리이다.▲ 동학교당 전경.□상주 동학교당은척면 우기1리 728의 동학교당은 남접 대도주 김주희 선생(1860~1944)이 교세 부흥을 위해 1922년 건립한 동학본부 건물이다.동학교당은 국가지정전통건조물 제10호(1987. 4. 1)로 지정됐고, 지금은 지방문화재 민속자료 제120호(1999.12.30)로 지정됐으며, 교당의 유물은 민속자료 제111호(1995. 3. 3.)로 지정돼 1998년에는 동학교당 유물전시관을 임시 개관해 지금도 동학유물을 전시하고 있다.□경천대우담(雩潭) 채득기(蔡得沂)가 1628년(인조 6년)에 터 닦은 자연석대다. 경천대에는 하늘로 우뚝 솟아오른 절벽 위로 송림이 우거져 있고 반대편에는 금빛 모래사장이 펼쳐져 있으며, 그 사이로 푸른 강이 흐른다. 이 눈부신 절경을 경천대에서 내려다보면 이곳의 빼어난 경관에 금방 반해버린다. 경천대는 예부터 기우제를 올리던 신구(神區)요. 정기룡(鄭起龍) 장군이 하늘로부터 내려온 용마와 더불어 수련을 쌓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병자호란 뒤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이 청나라 심양으로 볼모가 되어갈 때 우담은 인조의 특명으로 대군의 주치의가 돼 따라가다가 경천대의 장경에 빠져버린 후, 훗날 모든 관직을 마다하고 이곳에서 은거했다는 곳이기도 하다.□경북도와 상주시의 은자골 권역 사업1단계 사업으로 상수도 시설과 버스 승장강 개보수 등 기초생활시설을 정비, 신축하고 지역활성화 센터, 건강관리센터, 마을회관 신 개축 등 문화복지시설을 조성했다. 또 농산물 저온저장고, 감가공시설 등 소득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마을 쉼터 조성, 은자산 가구기 등 운동휴양시설 보강, 권역활성화와 리더 및 주민교육, 마케팅 및 각종 프로그램 개발 등 주민역량 강화 사업을 완공, 주민들의 편리를 도모하고 있다.2단계 사업으로 황령 2리 지역활성화 센터, 태양광발전기 생태교육 체험장, 관정 등 지역활성화 센터와 건강관리센터 증 문화복지시설 사업과 농산물 건조장 등 소득기반시설을 확충·보강하고 있다.△건강관리센터남곡 1리 은자산 자락 척박한 농토에 6억7천300만원을 들여 지난 2009년 4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주민들의 휴식공간이자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건강관리센터를 건립했다. 센터에는 건물 1동, 배구장 1개소, 공동주차장 1식, 정자 1개소, 각종 운동기구가 비치돼 주민들의 건강을 보살피고 있다.△권역 상징물은자골에 첫발을 내디디면 `어서 오십시오`라는 상징물이 방문객을 맞는다. 경북도와 상주시는 2010년 8월부터 12월까지 1억4천800만원을 들여 권역 상징물 3개소, 돌탑 4개소 등을 설치했다.△마점 쉼터은척면 황령3리에 2008년 1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1억6천900만원을 들여 주민들의 휴식공간인 마점쉼터를 조성했다. 마점 쉼터는 길가는 나그네는 물론 농사일을 하다가 휴식을 취하는 곳이다. 연인, 친구, 가족들과 함께 어제와 오늘, 내일을 생각하게 하는 공간이기도 하다.△지역활성화 센터2011년 11월부터 오는 12월까지 3억9천800만원을 들여 지역활성화 센터 조성이 한창이다. 여기에는 관정개발 1개소, 농촌체험장 등 방문객들과 주민들의 생기를 불어 넣어줄 아름다운 공간 역할을 하게 된다.△친환경농산물 건조장은자골 권역에 2011년 11월부터 오는 12월까지 자부담 6천200만원을 포함해 3억1천700만원을 들여 곶감, 오미자 건조기 등 건조장 1동을 짓고 있다. 농산물 건조장은 농민들이 재배한 상주의 명물, 곶감과 오미자 등을 건조하고 창고로 활용해 고부가가치를 창조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소득증대에 이바지하게 된다.△은자골 권역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모범사례권역 주민들이 볼거리가 있는 농촌마을을 조성코자 12명이 자발적으로 300만원을 들여 도로 옆 꽃길 조성, 경관작물(메밀)을 재배해 방문객으로 하여금 볼거리를 제공하는 등 주위 환경을 밝게 하고 있다.또 도시민들과의 유대강화를 위한 경기도 부천시 중 1동과 자매결연해 어려운 농가 일손돕기, 설명절 선물 증정 등의 활동으로 우정을 돈독히 해 타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특히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사업 참여로 `행복한 마을 만들기`사업에 선정돼 보조금 3천만원을 확보해 지역 특산물인 능이 버섯 홍보를 위한 도농교류체험장을 조성, 능이 버섯 먹거리 시식행사 등과 도시민들의 체험활동장으로 활용하고 있다./서인교기자 igseo@kbmaeil.com

2012-05-11

저소득·소외계층 제대로 즐길 기회가 없다

지난 일주일간 경북도내 오지마을을 다녀봤다. 주민 대부분이 머리가 희끗희끗한 어르신들이었다. 노인복지회관에서 이웃 노인들과 이야기를 하는 등 아무 하는 일 없이 하루 일과를 보내고 있는 이들을 취재하면서, 무언가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것들을 찾아주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갈만한 곳도 그다지 없고 볼거리나 즐길거리가 별로 없다며 옛 영화라도 자주 볼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그들에게, 이젠 우리 모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문화적으로 소외된 저소득이나 소외계층들의 형편도 마찬가지 였다. 문화적 체험과 참여의 기회가 부족한 문화소외계층 청소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선사할 다양한 문화 행사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문화소외계층은 문화를 향유할 줄 몰라서가 아니라 보고 즐길게 없어 향유하지 못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문화소외지역에서 느낀 아쉬운 점을 짚어본다.글 싣는 순서① 경상북도의 문화복지 현주소② 경북도내 문화사각지대 현장③ 경북도민 대상 문화회관 등 문화시설 이용 설문④ 경북도청 문화바우처 허와 실⑤ 경북도청 문화정책 진단⑥ 프랑스 문화부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정책 들여다보기⑦ 독일 등 유럽의 문화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정책⑧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정책 수립 제언정부돈 25만원으로 한달 사는데 공연이고 뭐고 갈 엄두조차 못내#. 청송의 한 극빈층 조손 가정.80을 바라보는 양재영(74) 할머니와 중학교 2학년, 3학년 남자 어린이가 10평도 채 안되는 방 한 칸에서 살고 있다.할머니는 이곳에 군에서 운영하는 공연장이 있는지도 모르고 있을 뿐 아니라 평생에 음악회라곤 가 본 적이 없다. 태어나 엄마, 아빠가 모두 자신을 버리고 할머니를 엄마처럼 살아온 어린이들은 또래 친구들에의 삶과는 낯선 생활을 하고 있다. 컴퓨터는 물론이고 엄마, 아빠와 함께 뮤지컬 공연 한 번 가보지 못했다.양 할머니에게 공연장에 가 보신 적이 있냐고 물으니 50여년 전 마을에 노래자랑이 있어 두 어번 가보긴 했지만 그런 곳에서 무엇을 하는지도 모른다고 했다. 할머니는“25만 원 남짓 정부에서 주는 돈으로 그럭저럭 사는 거지 뭐. 그러니 사는 것이 사는 것 같지 않고 공연이고 무엇이고 삶이 힘드니까 아무 생각도 나지 않고 갈 수도 없는거지”라고 했다수백석 근사한 공연장 지어놔도 공연·전시는 1년에 고작 서너번#. 청송군 진보면에 위치한 진보문화체육센터.지난 2005년 주민들의 문화향수 기회 확대를 위해 개관한 이곳에는 480석의 공연장이 있지만 이곳 주민들은 근사한 공연을 보고 싶어도 볼 수가 없다.지난해에는 영화상영 5회, 공연 2회가 고작이었다.가정의 달인 5월에도 중순 쯤 1차례의 영화상영이 예정돼 있을 뿐이다.이 곳의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박승환 사업소장은 “아무리 농촌이라 해서 관객이 없어다로 공연 해 보면 좋겠다. 공연이라고는 가뭄에 콩 나듯이 있으니 일자리와 소득, 자녀 교육, 그리고 익숙한 도시생활을 떠나는 두려움을 극복하며 농촌에서 새로운 삶을 살고 있는 30~40대들에게는 아쉬울 따름이다. 수준높은 공연과 전시회 관람을 통해 아이의 창의력과 감수성을 발달시키고 싶은 마음은 어느 부모나 다 가지는 것이 인지상정이기 때문이다.하루 종일 화투나 치며 `하세월` 셔틀버스라도 있어 갈수 있다면#. 영덕군에 있는 한 노인복지회관에는 하루에 평균 60여명의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하루를 보낸다. 친구들끼리 옹기종기 모여 화투나 치면서 시간을 때우며 하세월을 보내고 있다. 복지회관이라 이름 지어졌지만 특별한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90%이상이 화투로 여가를 보내고 있어 새로운 여가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정봉순(87·영덕군 영해면) 할머니는 “공연장에 가 보고 싶어도 갈 엄두가 나지 않는다. 공연이라고는 꼭 저녁 시간대에 하니 어둡고 버스도 가지 않고 셔틀 버스라도 있어 우리 늙은이들을 좀 데리고 가면 좋겠다”고 했다.서석학 영해면 노인회장은 “경북도내에서 영덕, 청송, 봉화는 정말 오지다. 문화혜택이 없고, 70대 이상 노인들은 갈 곳이 없다. 가끔 공연이 있지만 노인들이 잘 즐기지 않는 이해하지 못하는 공연들 뿐이다”고 했다.촉박하고 부실한 프로그램이라도 수혜자입장이라 그저 따를수 밖엔#. 초·중·고등학생 45명이 생활하고 있는 영덕군의 한 보육원에는 예술강사지원사업이나 문화순회사업 등 중앙의 여러 기관에서 하는 프로그램을 매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사업들은 사회복지시설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실무자들이 혼란스러울때가 많다. 이곳의 신종숙 사무국장은 “사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지원되는 문화예술 관련사업 주관 단체가 너무 많아 실무자로서 혼란스러울 때가 많고 프로그램의 질적 서비스측면이 부족해 아쉬운 점이 있다. 대도시를 중심으로 문화예술활동들이 진행되다 보니 농어촌 지역에서는 수박 겉핧기식의 프로그램 진행이 너무도 당연하게 여겨지고 있다”고 했다. 그는 또 “가끔은 남은 예산처리때문에 촉박한 일정속에 프로그램을 진행해야 하지만 수혜기관이다 보니 감사한 마음으로 사업에 참여할 수 밖에 없는 것이 기관의 입장”이라며 “산발적으로 추진되는 문화예술관련 사업들이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돼 소외계층들에게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문화예술활동 기회를 줬으면 한다”고 강조했다.영덕의 한 문화예술회관 관계자는 “저소득계층의 삶은 문화향유라는 단어가 부끄러울 만치 인간다운 생활의 기준에서 저만치 멀어져 있었던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 된 지도 오래다. 이들에게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많이 주기 위해서는 돈과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다. 특히 문화소외계층은 저소득, 고령자들이 많기 때문에 이들에게 다양한 연극, 뮤지컬, 음악회 등 다양한 문화 기획공연을 마련하는 것도 좋지만 무엇보다 이들의 관심을 모을 수 있는 대중적인 명품 공연과 전시회를 유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이 관계자는 이어 “여러 문화예술 행사에 대해 인원 등 결과에 치중하지 말고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소외계층들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문화예술 행사를 기획하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경상북도 문화정책의 허와 실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 취재 지원을 받았습니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12-05-11

가족에 전하는 孝감사 편지공모… 1천여건 접수

포항시는 포항을 행복도시로 만들기 위해 감사나눔운동을 53만 시민들에게도 확산시키고 있다.그 일환으로 최근에는 가정의 달을 맞아 `포항시 효 편지쓰기 공모`전을 개최했다.포항시(저출산고령화대책과)는 지난 달 공모를 통해 1천여 건을 공모작을 접수받았고 그 중에서 최우수작과 우수작 을 선정했다.효 편지쓰기 공모에는 관내 초·중·고등학교 학생에서부터 노인대학 학생, 기업체 임직원 등 각계각층의 많은 시민들이 참여했다.참가자들은 알록달록하게 직접 꾸민 편지지와 원고지 등 다양한 형식으로 가족사랑에 대한 갖가지 사연들이 많이 담겨 있었다.최우수작은 포항 두호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이희옥씨가 쓴 효 편지 `엄마, 엄마, 우리 엄마`.이 작품은 치매에 걸린 어머니를 모시며 엄마의 사랑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됐다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특히 엄마에 대한 애틋한 사랑을 담은 사연으로 심사위원들의 심금을 울렸다.우수작에는 평소 아빠에 대한 사랑과 고마움을 표현한 학생들 작품이 선정됐다. 용흥중학교 2학년 손민지 학생의 `아빠께`와 오천고등학교 1학년 이영주 학생의 `아빠 안녕하세요`가 우수작에 선정됐다.장려상에는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고마움을 담은 80세 정경남 할머니의 `기쁨의 집 식구들 보세요`와 일본으로 유학 간 손녀딸에게 보내는 고마움과 염려의 내용이 담긴 `내 손녀딸 김기량아`가 선정됐다.이외에도 부모님과 주위 분들에 대한 고마운 내용의 수많은 사연이 있었으며 이번 기회를 통해 마음을 전달할 수 있었다는 감사의 내용들이 가득했다김홍열 포항시 저출산고령화대책과장은 “이번에 실시한 효 편지쓰기가 가족 간의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사랑을 나눔으로써 부모와 가정의 소중함을 일깨운 계기가 됐길 바란다”며 “이번 편지쓰기가 일회성에 그치지 말고 지속적으로 전개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최승희기자 shchoi@kbmaeil.com

2012-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