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람들

최세윤 의병대장 ‘구국정신’ 기리다

일제강점기 포항과 영천 등 경북 동해안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거병한 항일의병부대 삼남의진 최세윤 3대 의병대장의 숭고한 구국정신을 기리는 행사가 열렸다.최세윤 의병대장기념사업회(이사장 이상준)는 9일 포항시 북구 흥해읍 흥해향교 태화루에서 ‘제12회 최세윤 의병대장 추모식 및 제4회 전국한시 지상 백일장 시상식’을 가졌다.이날 행사에는 김지현 경북남부보훈지청장, 이상철 포항시 정무특보, 김일만 포항시의회 부의장, 최윤채 경북매일신문 사장을 비롯해 관계 공무원과 시의원, 흥해향교 전교 등 내빈 50여 명이 참석했다.작은 고을 포항 흥해의 아전이던 최세윤(1867~1916·포항 흥해 곡강 출신)은 1906년 3월부터 1911년 9월까지 약 5년간 활약한 산남의진(山南義陣)의 제3대 의병대장이다. 그는 을사오적이 외교권을 일제에 통째로 넘겨주자 항일투쟁에 나섰고 “백성의 주인인 나라를 백성이 나서서 지켜야 한다”는 소박한 깨달음이 자신을 변화시켰다고 말했다. 영천과 포항을 중심으로 일제에 항거한 산남의진은 초대 정용기 대장이 1907년 9월 포항 죽장면 입암 전투에서 의병 40여 명과 함께 순국했고, 제2대 정환직 대장은 포항 죽장면 상옥리에서 체포돼 대구형무소로 가던 중 영천에서 사살됐다. 이후 제3대 의병대장으로 추대된 최세윤은 1911년 9월 포항 장기면 용동에서 체포돼 대구형무소를 거쳐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했다. 산남의진은 영남 일대의 대표적인 의병 진영이고 최세윤을 비롯한 수천 선열들의 희생과 정신은 독립군으로 거듭나 대한민국을 건국하는 초석이 됐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들의 활약상은 세간에 널리 알려지지 못하고 그 정신마저 잊혀질 위기다. 포항에 최세윤을 비롯한 산남의진 의병 추모비 건립이 꼭 필요한 이유다.최세윤 의병대장기념사업회 이상준 이사장은 대회사에서 “조촐하게나마 추모식과 백일장을 개최하는 것은 선열의 업적을 잊지 않으려는 발버둥”이라고 말했다.한편, 전국한시 지상 백일장에서는 ‘원 최세윤 의병대장 추모비 건립(願 崔世允 義兵大將 追慕碑建立)’을 출품해 대상의 영예를 차지한 정상호(69·안동시)씨를 비롯해 43명이 수상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23-08-09

유망 청년음악가들, 대구를 만나다

대구시와 대구문화예술진흥원은 최근 2023 솔라시안 유스 오케스트라와 연계해 대구를 방문한 청년음악가를 대상으로 대구관광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했다.솔라시안 유스 오케스트라는 대구콘서트하우스 주관으로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국내·외 청년 음악가(17∼29세)를 대상으로 2일부터 8일까지 일주일 동안 국내·외 유명 오케스트라 전·현직 단원들을 멘토로 삼아 실질적인 오케스트라 교육 및 연주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젝트다.대구시와 문예진흥원에서는 솔라시안 유스 오케스트라 참여를 위해 대구를 방문한 청년 음악유망주들에게 대구관광 명소 방문 및 체험기회를 제공해 대구관광의 매력을 확산하고 재방문을 유도, 공연과 연계한 관광 프로그램 운영으로 예술·관광 분야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원주에서 온 강지웅 단원은 “그동안 음악과 연습에만 몰두하느라 여행할 기회가 많이 없었는데, 대구의 주요 관광지를 방문해 대구만의 특별한 체험을 할 수 있어 기쁘고 감사하다”며 “대구에 여행으로 꼭 다시 방문하고 싶다”고 전했다.강성길 문예진흥원 관광본부장은 “이번 대구관광 체험투어를 통해 장래가 유망한 청년음악가들에게 대구 관광의 매력을 한껏 알렸을 뿐 만 아니라, 관광과 예술이 연계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2023 솔라시안 유스 오케스트라 콘서트는 8일 오후 7시30분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에서 열렸다.솔라시안 유스 오케스트라 단원과 지휘자 이승원,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이 협연하고, 도쿄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클라리넷 종신 수석 조성호 등이 멘토로 참여했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23-08-08

지역 어린이에 찾아가는 붓글씨 체험 봉사

포항제철소 묵향붓글씨봉사단(단장 강성태)이 최근 포항 구룡포꾸러기마을돌봄센터를 서예체험활동과 무더위 쫓는 ‘부채작품 만들기’ 서예수업을 진행했다. 사진이번 활동은 붓글씨봉사단의 ‘찾아가는 서예교실’ 봉사활동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구룡포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추천과 후원으로 열렸다.포항시의 읍단위 지역에서는 처음 실시된 이날 수업은 1부는 △서예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먹갈기 △붓잡는 방법 △화선지 재단 △기초점획 연습과 자신의 이름 및 장래 희망을 붓으로 쓰는 전통문화 체험학습으로 이뤄졌다.또 2부에서는 여름철을 맞아 학생들이 △합죽선 △원형부채 △오죽선 등의 부채에 자신들의 꿈과 희망의 글귀를 붓으로 직접 쓰거나 그림으로 그리는 ‘나만의 부채작품’을 완성해 흥미와 성취감을 더했다.이날 서예체험학습에 참여한 학생은 15여 명으로 학생들이 고사리 같은 손으로 쓰고 그린 다양한 붓글씨와 그림을 벽면에 부착해 전시하기도 하고, 각자 만든 부채작품을 보면서 뿌듯해하기도 했다.최현숙 구룡포꾸러기마을돌봄센터장은 “포스코 붓글씨봉사단에서 지역의 취약계층을 세심히 배려하여 짧게나마 학생들에게 붓글씨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학생들이 정성을 다해 쓰고 그릴 수 있도록 가르치고 도와주는 봉사단원들의 모습에서 따스하고 아름다운 지역사랑이 느껴진다”고 전했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23-08-08